시인의 섬 기행 - 홀로 떠나는 섬에서 만난 아름다운 풍경과 선한 사람들
서상영 지음 / 미래의창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에 대표님 부부께서 가족휴가로 승봉도를 다녀오시면서 나에게 강추를 하셨다. 일본 오키나와보다 좋았다는 칭찬과 함께 사람도 적어서 한적하게 즐길 수 있는 휴가였다고 했다. 갑자기 섬이 땡겼다. 섬에 대한 로망도 생기고, 사람이 넘쳐나는 곳이 아닌 한적하게 즐길 수 있는 휴가지라는게 매력적이었다. 섬이라고는 제주도, 우도, 일본(열도니까) 밖에 가보지 못했고 작은 섬은 우도 하나? 하지만 우도는 이미 관광지로 많이 개발된 상태여서 섬에서 실제로 지내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기는 힘들었다. 그런데 승봉도는 아직까지 사람들이 많이 닿지 않는 곳이라는 매력이 있다고 느꼈다. 우리나라에는 나이브한 섬들이 아직까지 많이 있다고 알고 있다. 그런 섬들을 여행한 시인의 이야기가 담긴 <시인의 섬 기행>을 읽으며 섬에 대한 나의 기대치는 더 높아진 것 같다.


 

시인이라서 그럴까, 단어 선택이 좋다고 느껴졌다. 내가 잘 쓰지 않는 단어나 어려운 단어들도 있긴 했지만 은유를 할 때만 적용했던지라 읽는데 부담감은 없었다. 담백한 듯 하면서도 은은하게 표현하는 것들이 좋았다. 그의 어조는 섬을 천천히 둘러보는 듯한 느낌을 받는 듯 했고, 덕분에 나 또한 책을 읽으면서 느긋하게 함께 감상할 수 있었다. <시인의 섬 기행>을 읽으면서 우리나라에 섬이 생각보다 많고, 비슷하면서도 다르다는 걸 알 수 있었다. 섬마다의 특색은 다 달랐다. 주로 돈을 버는 업의 종류도 틀렸고 같은 어업을 하더라도 잡는 종류도 달랐다. 때로는 어업보다는 곡식이 주인 곳도 있었고 관광이 주인 곳도 있었다. 어떤 섬은 몇가구 남지 않아 휑한 곳도 있고, 어떤 섬은 젊은 이들이 있는 곳도 있었다. 이런 섬의 생태를 함께 알아가는 재미가 쏠쏠하더라.


저자는 섬을 다니며 섬에 깃든 역사적 사실도 알려주기도 해서 '아, 그때 그 곳이 여기구나'라는 생각을 들게 만들었다. 역사적으로 유명한 인물이 유배지로 왔던 곳이 그곳이구나 싶기도 했고, 그 전쟁이 일어났던 곳이 이 섬이구나 싶기도 했다. 역사 속에서 많이 언급이 되어도 기억을 못했는데 이번 기회에 재기억 되기도 했고, 또 새롭게 알게 된 부분도 있었다. (근데 또 까먹겠지?) 그 뿐 아니라 섬에 깃들이 전설, 우화, 실화 등 전해지는 다양한 이야기도 알려줬는데 그것도 재미있었다. 저자 나름대로의 해석이 덧붙혀진 부분을 읽고 있자면 피식 - 웃음도 나더라. 


섬 기행을 하면서 만나는 다양한 섬 사람들의 대부분은 연세가 지긋한 분들이었다. 젊어야 40~50대, 아니면 대부분이 60~70대. 아무래도 젊은이들은 뭍으로 나가기 마련이겠지. 그 덕분에 그 사람들이 겪은 산증인, 산역사를 들을 수 있는 행운도 있었다. 과거에는 이 섬에서 어떤 생선이 잘 잡혔는지, 이 섬의 사람은 얼마나 있었는지, 그때의 분위기는 어땠는지 등 그 섬의 역사를 알 수 있었다. 저자가 만난 섬 사람의 인생 또한 한가닥 알 수 있기도 했다. '아, 섬은 인생 그 자체인가.' 라는 허세 가득한 생각이 들만큼. 


 

때로는 시로 감동시켰고, 때로는 그 섬에 담긴 역사적 사실로 이해시켰고, 때로는 우화나 전설로 알게 했고, 때로는 실제로 거기서 살아온 사람의 이야기를 통해 섬을 보여주었다. 나도 모르게 섬으로 떠나고 싶은 욕구가 가득하다. 이 책에서 섬이 멋지게 미화된 것도 아니고, 책의 질이 좋아서 사진이 뛰어났던 것도 아니다. (사진 자체는 멋있었지만 화질, 재질과 프린트질이 떨어졌다고 볼 수 있다.) 그냥 나도 무작정 떠나서 여행하고 싶다는 것이 한 포인트일 것이고, 두번째는 혼자 떠난 여행에서 만난 그 지역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달해서 듣는게 아닌, 직접 내 귀로 들어보고 싶은 생각이 들어서이다. 섬의 가장 높은 산에 올라가 탁 트인 바다와 섬을 보며 가만히 내려다보는 행운을 가지는 시간을 꼭 갖고 싶다. 그 누구도 방해하지 않는 평온을 상상하며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