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막에서 연어낚시
폴 토데이 지음, 김소정 옮김 / 마시멜로 / 2012년 8월
평점 :
절판


 

 

 

사막에서 연어낚시라?! 연어는 대표적인 회귀성 어류로 유명하다. 바다에서 살다가 알을 부화할 때쯤 되면 온신의 힘으로 강을 거슬러 올라 상류에서 알을 낳고 죽는다. 그 한번의 산란을 위해서 힘차게 나아가는 연어를 사막 한가운데 데려가서 낚시를 할 수 있게 한다니? 이 어처구니없고, 말도 안되는 생각은 무엇인지 궁금하다. 영화로도 이미 나왔다는 내용을 접하고 더 흥미로웠다. 영국에서 얼마나 유명하기에 영국 최고의 '볼린저 에브리맨 우드하우스 상'을 수상했을까?

 

우선 톡득한 전재가 인상적이었다. 처음에는 메일 서신으로 이야기를 이어간다. 그리고 가끔 '나'라는 화자가 사실을 전달하기도 하며, 취조하는 듯한 느낌을 내며 대화만으로 이어간다. 꼭 연극대본을 보는 것처럼 말이다. 이제껏 이런 다양한 전개양식은 처음이라 신선했다. 두번째로는 건조하고 뜨거우며 일교차가 심한 사막에 연어를 대려간다는 발상이었다. 에초에 어렵다는 생각을 누구나 할 것 같다. 아마 말도 안된다고 하겠지. 하지만 이걸 실행시키려는 자는 '믿음'이 강한 자로, 그는 될거라고 예상한다. 


주인공 프레드 존슨은 이 프로젝트의 적임자로 선발되었지만, 그 역시 불가능할거라고 얘기한다. 하지만 하지 않겠다는 그의 발언으로 퇴사위기에 봉착하게 되고, 억지로 헤리엇과 만나게 되면서 연어 프로젝트를 맡기로 결심하고 최대한 가능한 방법으로 마음을 돌린다. 물론 마음을 돌린대는 아내의 메리의 역할도 컸다. 그렇게 시작된 예맨 연어 프로젝트는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정치적으로, 유통적으로, 사회적으로... 모든 이들이 이것을 환영하지는 않았기에 반대도 부딪히고 나라에서 지원하는게 아님에도 불구하고 공무원인 존슨은 회사에서 잘린다. 물론 바로 새로운 곳으로 이직되지만 말이다. 어쨌거나 말도 안되는 프로젝트에 가담하면서부터 프레드(존슨)는 변하기 시작한다. 정확하게 말하면 족장을 만나면서부터인 듯하다. 족장은 신비로운 사람 같았는데, 그가 하는 말은 꼭 신이 전해주는 말처럼 신비스럽게도 믿게 되는 효과를 보였다. 프레드 존슨도 처음에는 반신반의로 시작했지만 나중에는 자신이 오히려 이 프로젝트를 더 믿으며 마지막까지 성공시키 위해서 노력했다.

 

사실 이 책에서는 단순히 연어를 예맨에 갖다놓는 것만이 문제가 아니다. 잘 보면 정치적인 문제를 잘 풍자하고 있다. 연어 프로젝트를 둘러싼 여당과 야당과의 싸움이나 중동과 이란에 보낸 파병, 비밀작전 이야기, 그리고 비밀로 끝까지 붙히려는 정부와 알고 싶은 군인의 가족. 그리고 수상을 위해서 노력하고 아이디어를 내는 홍보실장인 피터의 역할 등을 보며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정치'에 대해서.

 

말도 안되는 얘기일지도 모르나 그런 말도 안되는 이야기를 믿고 따르고 희망한 프레드 존슨과 족장을 보면서 다시 한 번 생각해본다. 불가능한게 아니라 어려운게 아닌가 하는 그런 생각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