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그네 오늘의 일본문학 2
오쿠다 히데오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명한 책이라 4~5년 전부터 읽고 싶다고 생각을 했던걸 드디어 읽게 되었다. 정말 읽고 싶은 책은 산더미인데, 그 많은 책 중에서 읽는 책은 많지 않은 것 같다. 올해는 그런 책들을 꾸준히 읽어갈거라는 생각으로 책을 읽고 있는데- 정말 인기 있는 작품은 그 이유가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웃기고 재미있고 유쾌하다는 그 말, 이 책을 일컫는 말이었다.

 

엽기 정신과 의사 이라부와 엽기 간호사 마유미. 이 두 콤비를 생각하면 '풉'하는 웃음이 절로 나온다. '마유미짜~앙' 하는 이라부의 목소리와 외모가 상상이 되면서 그저 웃기다. 몸집이 크고 힘쎄보이는 이라부, 하지만 어린애같은 목소리와 행동이 그저 웃긴다. 육감적인 몸매에 짧은 미니스커트를 입은 마유미는 나른하며 지루한 듯한 표정이 매력적인 간호사이다. 이렇게 두명으로 결성된 신경정신과에 삶에 지친 사람들이 찾아오기 시작한다.

 

첫번째는 선단공포증을 가진 야쿠자의 이야기다. 선단공포증이란 뾰족한 걸 두려워하는 것을 말하는데, 특히나 남이 들고 있으면 더욱더 자신에게 다가와 상처를 입힐까봐 겁이나고 무서워하는 증상을 말한다. 누구나 어느 정도의 선단공포증이 있지만, 미미할뿐이다. 그런데 칼을 들고 다닐 것 같은 야쿠자라는 직업을 가진 남자가 선단공포증이라니?! 설정부터 유쾌하다. 이라부는 이 남자에게 조금 독특한 체계적 탈감각(systemic desensitization)을 시킨다. 우선 비타민 주사를 놓아 뽀족한 주사에 익숙하게 만들었다.(물론 이 남자에게 뿐만 아니라 다 놓는거지만-_-; 이라부는 주사약이 들어가는데 쾌감을 느끼는 듯) 그리고 뽀족한게 덜 보이게 선글라스를 끼게 한다던가, 남보고 자르게 한다던가 하는 방법을 쓰게 한다. 근데 결국 그의 마음을 풀어놓는건, 나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도 그렇다라는 걸 알게 되어 자신 스스로 옳아매는 두려움이 없어졌을 때였다. .

 

두번째는 마음을 열지 못하고 자신만의 생각에 사로잡힌 공중그네 리더. 세번째는 격식에 싸매여 그 곳에서 벗어나고 싶은 충동에 자꾸 강박적인 파괴충동이 일어나는 신경정신과 의사. 네번째는 질투로 인해 입스에 걸린 야구선수. 다섯번째는 인기를 잃을까 두려운 여류작가이야기이다.

 

이라부는 참 어린애 같았지만, 하나하나의 행동에 이유가 있었다. 공중그네 팀 속에 묻히듯이 들어가 마음을 열고 사람들과 잘 지내는 모습, 친구와 함께 파괴충동을 실제로 해버리는 모습, 야구를 즐기지 못하고 성적만 따지는 그에게 함께 캐치볼을 하자던 모습, 인기를 잃을까 두려워 자꾸 글을 쓰는게 두려운 그녀에게 철없는 어린애같은 모습으로 자신의 모습을 깨닫게 해주는 행동까지. 철없는 어린애같은 행동이었지만 사실은 다 치료와 연관된 행동이었던 것이다. 결국 그들의 마음을 아프게 한 건 스스로를 압박하고 묶었던 마음이었다. 다른 사람에게 마음을 열지 못하고 꽁꽁 싸매고 혼자만 힘들다고 생각하는 그들의 마음이 더욱더 자신을 힘들게 만들었던 것이다.

 

이 세상에 많은 사람들은 자신이외에 딴 사람들은 다 행복해보이겠지만, 실상 하나하나 따져보면 아프지 않은 사람은 없다. 누구나 말 못할 아픔과 비밀은 가지고 있는 법. 그걸 자신만 힘들고 지친다고 생각해버리면 더 우울해지고 힘이 없어지기 마련이다. 그런 사람들일수록 이 책을 읽고 웃어버릴 수 있다면 얼마나 좋으려나. 나 또한 그렇진 않나 반성해보며 이 책을 덮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