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5 Thank You 땡큐 - 마음을 감동시키는 힘
존 크랠릭 지음, 차동엽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실화라는 얘기에 자기계발서임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왠만한 자기계발서는 질릴정도지만, 그래도 '실화'라는 사실에 동했다. 사람들은 어떤 이야기이든 실제로 일어난 일이라면 자신도 할 수 있을 거라는 믿음을 가지게 되기 때문인걸까? 자신도 왠지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간사한 마음때문에 더 손이 간다. 그리고 실제로 주위에서 쉽게 일어날 수 없는 일들을 대신 읽어보면서 꿈을 꾸고 동기화하기 때문이다. 나 또한 그런 사람 중에 하나라는 것을 부정하지 않겠다.

 

이 책의 주인공인 저자는 부부간의 이혼 위기, 망해가는 로펌을 운영하며 파산위기, 동료들과의 적대적 관계, 게다가 자식과의 관계까지 좋지 않은 상태를 몇 년째 아슬아슬하게 지켜오다가 어느 날 지칠대로 지쳐서 희망을 잃어버렸다. 그러다가 어느 날 산에 가게 됐는데 길마저 잃어버렸다. 꼭 자신의 인생같이 느껴진 존 클래릭은 자살, 또는 죽음의 결심까지 가려고 한다. 그러던 어느 순간 자신에게 한 음성이 들린다. "너가 지금 현재 가진 것에 감사하라"와 같은 비슷한 말을 들었다. 그 말이 어디서 온지는 모르겠지만, 그는 내가 현재 감사할 만한 것이 있는 가에 대해서 고민하고 또 고민하게 된다. 그렇게 시작된 365개의 편지쓰기. 시작은 자신이 사랑하고, 자신을 사랑해주는 애인 그레이스에게서 시작된다. 그녀에게 받은 감사편지에 답장을 하면서 주변인들에게 소소한 것에 대한 감사를 시작했다. 그렇게 시작된 감사편지는 존 클래릭의 삶을 조금씩 바꿔놓았다. 사실은 존의 마음가짐 즉, 인식이 바뀌었기 때문에 그가 다른 사람, 물건, 상황 등을 대하는 태도가 달라졌고 그에 대한 반응이 달라진 것이다. 그렇게 삶은 조금씩 바뀌어갔고 분명히 나아졌다.

 

 

 

 

 

 

이 책은 큰 변화를 이야기하지 않는다. 그가 행했던 어려운 일, 해내기 힘들것 같던 365개의 감사편지를 해냄으로서 변화된 그의 삶을 고찰한 책인 것 같았다. 아무래도 작가가 직업이 아니여서일까 아님 번역때문일지 모르겠지만 글을 쓰는 방식, 문체에 대한 아쉬움이 남았다. 조금 더 극적으로 쓸 수도 있었고 차분하게 진행될 수도 있었는데 스토리가 조금의 지리멸렬함이 있었기 때문이다. 조금더 자연스럽게 전개가 되었다면 더 좋은 책이 되었을텐데... 라는 생각이 들었다.

크리스마스에 연말, 연초가 다가오니 많은 사람들이 편지쓰기를 한다고 주소를 알려달라고 했다. 나도 해보고 싶다는 마음은 크지만, 아직 시도를 해보지 못했다. 크리스마스 카드도 중학교때 이후로 쓰지 않았던 것 같고, 편지도 작년까지만 잠깐잠깐 썼던 것 같다. <365 thank you>를 읽으면서 나도 편지쓰기를 작지만 시도해볼까라는 마음이 동했다. 365개를 쓰진 못하겠지만 적어도 고마운 사람들에게 마음을 표현하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