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을 말할 때 우리가 이야기하는 것
레이몬드 카버 지음, 정영문 옮김 / 문학동네 / 200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제목이기도 한 '사랑을 말할 때 우리가 이야기하는 것'은 책에 수록된 여러 단편중 하나이다.
다른 단편들이 그렇듯이 이 제목 역시 내용과는 일견 연관이 없는듯 보인다.( 라는건, 내가 어떤 연관이 있는지 도대체가 알 수 없다.는걸 에둘러 말하는 것이다.)

내 고등학교때 정신세계가 궁금해져버렸다.
나는 고등학교때 레이먼드 카버의 팬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의 책들도 다 가지고 있었다.

소설가는 모름지기, '이야기해'주거나, '보여' 주어야 하는데,
레이몬드 카버는 그 둘 중 어느 하나도 하지 않는다.
이야기.가 있다. 아주 짧은 단편들, 아주 짧은 단편의 순간들. 의 스케치들.

이 책을 읽으면서 한가지 애로사항은 아주 짧고 분명한 이야기 하나를 보고 나면, 바로 그 다음 단편은 틀림없이 헷갈려하며 고개 부르르. 책 읽는 내내.

여운이 길다는건 좋다는 얘기지만, 너무나 짧고 단순하고 분명한 스케치.는 소설이라 할 수 있는가?

보르헤스는 단편소설을 문학의 정수로 보았는데,
나는 카버의 문학중기의 주옥같은 단편모음집.이라는 이 책에서 '단편소설'의 정의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본다. 공들여 그린 그림 뒤에 얼토당토 않은걸 예술이랍시고 들고나온 앤디 워홀처럼.( 이라고 말함에도 불구하고, 나는 팝아트의 팬이다. 워홀, 리히테슈타인, 재스퍼 존스, 올덴 버그( 아 그리운 필리의 빨래집개!)등등등 등등등 )
문학에서 얼토당토않게도, 이야기를 하기보다, 일상을 글로 스케치하고, 이것이 단편소설이다. 라고 내놓으면, 그걸로 되었나?

나는 내가 무얼 읽었는지 모르겠다.

*제목에 원제가 병기되지 않은 것은 계속 아쉽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루(春) 2006-10-25 00: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 이 책 담에 기회가 되면 사려고 보관함에 담아두고 있었는데... 하이드님의 생각이 바뀌었나 봐요.

하이드 2006-10-25 10: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쎄요. 저는 고등학교 때 신경숙도 공지영도 양귀자도 그리고 하루키도( 이건 여전히 재미있지만, 고등학교 때 노르웨이숲 읽었을때만큼은 아니에요 )좋아했었는데,

카버의 이 책은 뭐랄까, 기승전결 없는건 그렇다 치고, 긴 영화 혹은 소설에서 몇장 뚝 찢어다가 자, 여기 단편소설. 하고 내 놓은 느낌이라 말이지요. 게다가 그렇게 몇권 책에서 뜯어낸 부분.들을 연속해서 읽어야 한다는 것도 당혹스럽고, 등장하는 인물들이 하나같이 무기력비참한지라, 별로 정가는 단편집은 아니였어요.

비로그인 2006-10-25 12: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이 책에서 제가 무엇을 읽고 느꼈는지, 감각이 사라진 기분이었어요. 좋고, 싫고, 재미있고, 재미없고를 떠나서 아무 맛이 없는 도토리묵을 집어먹은 느낌.

미미달 2006-10-26 03: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름 신선하지 않나요?

알맹이 2007-06-11 00: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20대 중반에 이 책 읽었었는데.. 지금 기억은 희미하지만, 그 때 당시에는 완전 반해 버렸었던 기억이 있어요;; 음.. 그렇지만 2번 읽고 싶지는 않다고 생각했었는데. 님이 쓴 리뷰를 보니 영화 '숏컷'이 생각나네요. 그 영화 보면서는 졸았었거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