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맥베스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99
윌리엄 셰익스피어 지음, 최종철 옮김 / 민음사 / 2004년 3월
평점 :
<맥베스>는 셰익스피어의 다른 세 비극보다 훨씬 짧지만 그것을 가로지르는 우리의 체험은 너무도 혼잡하고 강렬하여, 간결함이 아닌 속도감의 인상을 남긴다. 그것은 비극들 중에서 가장 격렬하며, 가장 응축되어 있고, 아마 가장 엄청나다고까지 말할 수 있을 것이다. - A. C. 브래들리
셰익스피어 4대비극 <햄릿>,<리어왕>,<오델로> 그리고 <맥베스>
4대비극중 가장 마지막에 쓰여졌고, 가장 짧은 분량이기도 하다.
비극이 적나라하게 와닿고,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되는 다른 비극작품들에 비해, <맥베스>에서는 즉각적인 카타르시스를 느끼기 힘들지도 모른다.
비극은 이 세상의 것이 아닌 것의 예언으로 시작된다.
마녀 1 맥베스를 환영하라! 글래미스 영주시다!
마녀 2 맥베스를 환영하라! 코도의 영주시다!
마녀 3 맥베스를 환영하라! 왕이 되실 분이다.
짐작 가능한 미래를 알 때, 그것은 예언이 아니었다.
기대하지 않았던 일이 이루어졌을때, 예언을 믿고 싶어졌다.
대부분의 진실에 약간의 거짓을 버무렸을때, 연약한 인간은 딸려온다.
맥베스는 '평범한' 악인이다. 그는 자애로운 왕을 죽였고, 왕의 아들과 자신의 부하까지 죽인다.
살인의 원인은 질투도, 우연도, 복수도 아니다. 그런 악인을 동정하고, 그런 악인의 파멸을 비극으로 생각해야할까?
맥베스가 비극인 이유를 두가지 찾았다.
첫번째로, 금의환향하는 맥베스의 눈 앞에 마녀의 입을 통해 나타난 약간의 거짓과 진실된 예언들.
두번째 예언이 이루어지자, 세번째 예언을 바라보게 되었다. 악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악惡을 선택하지 않는 것이 악惡(남자가 아닌 것) 느껴지게 되어 버린 것.
두번째는 악에 굴복하고(혹은 악을 쫓아가고), 비참해지지만, 결단 내렸던 자신의 입장을 굳게 견지하는 것이다.
파멸을 앞에 두고, 겁장이가 되기 보다는, 죽음을 향해 용감하게 뛰어든다. 그 속에는 이미 자신이 파멸할 것을 아는 것은 물론이고, 자신이 행한 돌이킬 수 없는 악행에 대한 죄책감, 그리고 잘못된 선택을 했지만, 굴복하지 않겠다는 자존심이 존재한다.
맥베스 항복하지 않겠다.
나이 어린 맬컴의 발밑 땅에 입 맞추고
잡놈들이 욕 퍼붓는 놀림감은 안 될 거다.
던시네인 언덕으로 버남 숲이 오기는 했지만
대적하는 네놈이 여자 소생이 아니긴 하지만
난 끝까지 해보겠다. 이 도전의 방패를
내 몸 앞에 던진다. 덤벼라, 맥더프. 그리고
"멈춰."라고 하는 놈은 지옥에나 떨어져라!
맥베스의 마지막에 마음이 움직이는 것은 나역시 유혹에 약한 평범한 인간이기 때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