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생양의 섬
샤론 볼턴 지음, 김진석 옮김 / 엘릭시르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스터리 독자들 사이에서 평이 좋은 작품은 대게 정말 괜찮은 작품인 경우가 많다.

다른 장르/분야에서도 그런지 모르겠는데, 미스터리는 거의 틀림없이 그렇다.

여성작가의 혹은 여성이 주인공인 혹은 여성작가의 여성이 주인공인 책을 읽기로 결심한 이후로 (사실, 이제 남자 작가들의 남자 이야기가 잘 안 들어와. 재미가 없어) 꼭 그렇지만은 않게 되었지만, 이 책은 평도 좋고, 내 기준에도 부합한다.

 

주인공은 자신이 애정하던 말이 노화로 죽자 포크레인 같은걸 빌려서 땅에 묻기로 한다. 속성으로 배워서 말을 몯으려 하다가 여자의 시체를 발견한다. 황당한 결심과 황당한 실행, 그리고 이어지는 사건과 밝혀지는 과거.

 

공포영화에서 거기 가지마아아아! 하는 곳에 가고야 마는, 그리고 죽고야 마는 금발여자. 같은 느낌인데, 뭔가 굉장히 현실적인 면이 있다. 이런 여성 캐릭터를 만들어낸건 작가가 여자여서라고 믿는다.

 

감정이입도 엄청 잘된다. 모든 것이 세련되고 완벽하게 흘러가는 작품은 아니지만, 이야기가 재미있고, 신선하다. 주인공이 인상적이고, 굉장히 가깝게 느껴진다.

 

주인공이 산부인과 의사이고, 아이를 간절히 가지고 싶어하는데, 좀 과하다싶을 정도로 임신과 관련된 여자들의 이야기가 디테일하게 나온다.

 

그리고.. 시골 중에 시골인 그 곳에서 금발남성종족에 대한 회의와 좌절을 느끼는 점도 거기나, 지금 여기나 하는 마음으로 읽었다.

 

아기의 체중은 다양했지만 모두 정상 범위 내에서 약간 무거운 편에 속했다. 두 건은 제왕절개를 거쳤고 나머ㅣ는 정상 분만이었다. 그렇게 태어난 아기들은 모두 남자였다. 다시 확인해보았다. 아기들 가운데 여자는 없었다. '남성 종족'이라는 말이 떠올랐다. 

 

글쎄, 이곳에선 적응을 잘 못 한 것 같고, 그 점에 있어서는 그들의 말이 맞아요. 이곳 섬들은 작지만 강력한 패거리가 다스리고 있거든요. 체격이 큰 금발의 남자들 말이죠. 모두 같은 학교를 나오고, 같은 스코틀랜드 대학을 다녔고, 노르웨이 부족의 침략이 있던 시절부터 가족끼리 서로 알고 지낸 사람들 말이에요. 토라, 생각해봐요. 병원의 아는 의사들이나, 학교의 교장이나, 경찰이나 치안판사, 또 상공회의소, 지역 시의회까지, 그들이 전부 차지하고 있다고요."

이런  이야기들과 산과학에 대한 디테일들이 이 작품을 충분히 개성있게 만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발머리 2018-06-02 07:5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마지막 문단은 소설과 현실이 딱 일치하네요. 슬픈 현실...
전 미스터리는 안 읽은 소설이 많은데, 눈띵하고 갑니다~~
6월의 다짐 2일차... 하이드님~~ 빠샤!!!

하이드 2018-06-02 20:26   좋아요 0 | URL
네, 그렇습니다. 막 되게 세련된 느낌의 글발은 아닌데, 공감 가는 면이 많고, 여주인공한테 이입이 잘 됩니다.
이렇게 눈에 보이게 하루에 한 개 이상! 써 버렸으니, 부지런히 글 쓰는 습관 만들어볼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