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희언니랑 영준이는 A형인데 풍선공포증이 있거든요,  

그런데 저는 없으니까 아마 O형인 것 같아요. 제가 특이혈액형일 것 같지는 않으니까요,흠." 

아직 혈액형 검사를 해본 적이 없는 미니는 이렇게 자기 혈액형을 추측했다.  

혈액형의 유전 방식을 이해하고 나서  

우리집 아이들은 그 두 가지 중 한 가지 혈액형 밖에 나올 수 없다는 걸 알았기 때문이다. 

하루는 특이질환이 나열된 표를 열심히 들여다보더니 

갑자기 "나는 완벽한 아이야!" 라며 거의 외마디 소리를 지르며 좋아했다. 

자기는 키도 크고 건강하니까 몸은 완벽하단다. 

그런데 단 한 가지 마음에 걸리는 것은 바로 혀말기이다. 

어떻게 하면 혀를 동그랗게 말 수 있느냐고 하길래  

아직 어려서 방법을 몰라서 그렇지 크면 다 할 수 있게 된다고 대답해주었다. 

그런데 이 책을 들고와서 혀말기가 유전된다는 거다. 

엄마는 미처 알지 못하고 있던 일이었지만 미니아빠도 당연히 할 수 있을 줄 알고 해보랬더니 

이런이런 신기하게도 안 되는 것이었다. 

미니가 아무리 애를 써도 안 되서 속상해했는데 아마 혀말기 우성유전자가 없는 모양이다. 

아주 간단하고 작은 일인데 커서도 못할까봐 걱정이 태산이라서 

엄마,아빠가 어떤 유전자를 갖고 있고 또 어떤 유전자를 물려주면 혀말기를 할 수 있는지 그걸 연구하다보니

부모세대와 자손 1세대의 유전자형과 표현형을 완전히 이해하게 되었다.  

그래도 혀말기 우성유전자를 받았을 가능성은 있으니

아직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어려서 방법을 모르는 탓이라고 믿고 싶어한다. 

미니는 천성이 경쟁심이 강한 편이어서 무엇이든 이겨야 직성이 풀리는데 

혀말기를 할 수 있었다면 이렇게까지 열심히 읽고 이해하려고 노력하지는 않았을 듯 하다. 

아뭏든 혀말기가 안 된 덕분에  

종이에다 R,r 따라쓰기 힘든 알파벳까지 써 가며 뜻하지 않은 공부를 열심히 했고  

혈액형이랑 다른 유전현상에 대해서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어린 두 동생들에게 틈틈이 혀말기를 시키느라 열심이다. 

둘 다 아직 어려서 그런지 유전자가 없어서인지 역시 혀말기는 하지 못한다. 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