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질녘 고성 할머니 댁 마당에 나와 노는데 제비 떼가 날아다녔다. 

신기에 가까운 날개짓으로 빠르고 낮게 처마 끝을 넘나드는 모습을 보니 입이 떡 벌어졌다. 

다른 새들이라면 긴 서까래와 대들보가 만나서 만드는 공간에

실수로라도 들어간다면  나갈 길을 찾지 못해서 이리저리 파다닥거릴 듯 한데 

제비는 늘어진 줄넘기 모양(양쪽이 벌어진 U자라고 해야 할까?)으로  

눈으로 쫓기도 힘들만큼 빠르게 쪽마루 천장과 마당을 들고 나면서 부지런히 지푸라기를 물어날랐다. 

오래된 집이라 얼키고 설킨 전깃줄 위에 두 마리가 앉아 지지배배 지저귀는 모습을 보니 

선명한 흑백이 대비되는 작고 날렵한 몸매가 그야말로 예술이었다. 

 

강남갔다 봄이 되면 다시 돌아온다는 제비 얘기는 많이 들었지만 직접 보기는 아마도 처음인 듯 하다. 

미니도 제비가 우리 집에 집을 짓다니 정말 행운이라고 폴짝폴짝 뛰면서 좋아했다.  

언젠가 작은 언니네가  

베란다에 둥지를 튼 비둘기를 그냥 두었다가 곤욕을 치르는 것을 본 엄마가 여쭈어보니

할머니는 어제 이미 짓고 있는 제비집을 한 번 걷어내신 모양이었다. 

그래도 제비는 포기하지 않고 씩씩하게 다시 집을 짓는 모양이다.  

어떻게 되는지 보지 못하고 너덜이로 돌아왔다. 

 

산 속이라 할 만한 너덜이와는 달리  

고성 구만은 화산분화구가 만든 들판이라 날아다니는 새들이 많이 달랐다. 

제비도 참새도 떼지어 날아올라 눈길을 끌었는데 너덜이에는 제비도 참새도 없다. 

이름이 궁금한 온갖 종류의 산새가 있을 뿐. 

그나마 꿩, 까마귀, 까치는 이름이 분명하고 눈에 가장 많이 띄는 새들이고 

뻐꾸기와 소쩍새는 울음소리를 들려주어 존재를 알 수 있지만  

방 앞에 선 나뭇가지에 가장 흔히 날아드는 몸집이 자그만  

아마도 박새와 어쩌면 종달새, 또 어쩌면 동고비 그들은 울음소리도 이름도 제대로 알 수가 없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순오기 2009-06-16 10: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우~~ 그런 걸 볼 수 있다는 것도 축복이지요.^^
우리집엔 97년에 제비집 지어 새끼를 두 배 내더니 그동안 안 오다가
작년에 10년만에 다시 와서 살고 있어요. 아침마다 부지런한 제비소리에 잠깬답니다.^^

2009-06-20 23:1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06-23 22: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소나무집 2009-06-24 01: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완도에 와서 살면 제비도 보고 산도 보면서 자연속에 파묻혀 살 줄 알았어요.
하지만 사는 곳이 아파트, 그것도 12층이다 보니 도시 삶과 별반 다를 게 없더라구요.
역시 사람은 땅과 가까운 곳에서 살아야 사람답게 살 수 있는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