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너의 거기는 작고 나의 여기는 커서 우리들은 헤어지는 중입니다 문학과지성 시인선 536
김민정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10206 김민정.

한 달에 소설 다섯 권, 시 한 권, 혼자 정한 약속인데 지난 달에 읽은 열일곱 권 중에 시집은 빠뜨렸다. 그래서 김민정의 시집을 빌렸다.
벌써 2년 전이야. 시집 출간 후 제목을 보고 이것이 뭐야, 그때만 해도 시를 읽을 궁리조차 못하던 때라 그냥 특이한 제목이구나 하고 지나갔다. 우리집에 엄마가 사둔 그녀가 처음, 느끼기 시작했다 가 그녀의 시집인 것만 알았다. 엄마가 아직도 그 시집을 읽지 않은 건 얼마 전에 알았다.
시집을 읽다 말고 괜히 시인 얼굴이 보고 싶어서 검색을 했다. 사진을 보니 나보다 훨씬 힘이 세게 생겼다고 생각했다. 시인의 나이도 보았다. 그러고나서 마지막 시를 읽으니, 시가 44편, 모두 곡두라는 부재에 번호가 차례로 매겨져 있는데, 2019년에 시인이 44살이었으니 44인가봐, 혼자 넘겨짚고 나는 4를 좋아해, 하고 생각했다.
늘 시는 어려운데, 김민정의 산문시들은, 거기 잔뜩 나오는 말장난과 말놀이는 이상하게 쭉쭉 읽혔다. 나는 이런 취향이었던 것이다! 대부분의 시가 흡족하게 읽혔고, 왜때문에 어렵지가 않았다. 이 달에는 시 한 권 약속 지켰다. 헤헤. 지난 달에 안 본 것도 한 권 더 봐야 겠구나…

+밑줄 긋기
-북성포구에 바지락 까 파는 단골 할머니 가게에 들렀는데 할머니 아프다고 오늘 쉰대서 돌아 나오다가 옆 가게 빨랫줄에 집힌 말라가는 박대에 눈이 갔는데 박대 잘 마르라고 거의 꺼져가는 연탄 하나 거기 놓인 것도 봤는데 불현듯 그 연탄 속내 좀 들여다보겠다고 쪼그려 앉았는데 나도 모르게 무릎 구부러질 때 내 입에서 나가는 소리 자…...그 자 대체 뭐니. 돌돌 말린 줄자가 데구루루 구르는데 어제의 내가 그제의 내가 그끄제의 내가 데굴데굴 굴러 나와 나를 빤히 쳐다보는데 미쳐서 지치고 뒤적이니 뒤척이는 나의 기척들아, 안녕. 원한과 원한 바의 구분이 이렇게도 프로답지 못하다는 건 있지, 내 머리가 나빠서고 내 몸이 아파서고 그런데 바둑 기사 헤이자자 7단의 이름을 기억하게 된 건 말이지, 이름에 자자가 있어서니 뭐 나의 까짐 덕분이랄까. 전문가란 그것밖에 모르는 사람들이라 할 때 나는 돌아 까짐의 전문가. 삶에 더 삶아져봐야 할까. 산 주꾸미는 어린애 같고 삶은 주꾸미는 늙은이 같은데 둘 다 둘 나름의 맛이 달라 좋지. 초장맛인가. 담낭 떼느라 수술한 그날부터 먹고 싶은 건 초장뿐이라 편의점에서 그 초장 몰래 사다 몰래 짜 먹다 흰색 침대 시트에 빨간 얼룩 물티슈로 지우다가 더 퍼뜨리던 2018년 4월 첫 주와 둘째 주의 일산백병원 621호 병실 창가 자리. 사물함에 두고 온 네모난 아베다 손거울은 누가 가졌을까. 누군가 버렸을 거야. 테두리 까졌거든.
(‘나의 까짐 덕분이랄까-곡두 12’전문. 나도 까진 덕분이랄까 이 시가 좋네. 김민정 언니가 병실에서 담낭 떼고 누워 있다 초장 짜 먹고 흘릴 무렵 나는 병실에서 아기 낳고 있었겠군.)

-가없지 않고 가 있다는 솔직함이 말이 되는 나의 마음. 이 마음. 발 걷고 주방 안으로 들어갔더니 비닐장갑 낀 손으로 닭발 먹다 몰래 뽀뽀하던 중년의 주방장과 홀 담당 아가씨가 있어 아 젓가락은 왜 자꾸 떨어지고 지랄일까 딴청 피우듯 말하는 나의 마음. 이 마음. 다 만나려고 이별하고 또 이별하려고 만나는 것을 끝끝내 알아버린 나의 마음. 이 마음의 쓰기는 끝끝내 말로는 끝이 안 나서 있는 연필 두고 자꾸만 새 연필 사러 가게 만드는 나의 마음. 이 마음.
(‘네 삽이냐? 내 삽이지!-곡두13’중)

-2018년 11월 9일 오늘 진달래나무 카페에서
일러준 생년월일로 사주와 주역을 보았어요.
다 얘기하라 해서 다 얘기합니다.
얘기한 거고요.
마지막으로,
민정 씨는 병진년 윤달생입니다.
윤달은 손 없는 사람들이
그때 무덤도 옮깁니다.
즉 윤달생을 통해 주검이 오가면
탈이 없고 좋습니다.
(‘모르긴 몰라도-곡두 23’ 전문. 나는 갑자년 윤달생입니다. 내 손을 통해 주검이 오가면 탈이 없고 좋습니까.)

-잊으셨겠지만 서로의 집에
데려다주기 바쁜 시절의 연인들.
잊고 싶으시겠지만 서로의 집에서
안 데리고 나가기 바쁜 시절의 연인들.

서로 손을 잡고 잡았다 한들
잴 수 있었을까 서로의 온도를.
서로 등에 업고 업혔다 한들
잴 수 있었을까 서로의 무게를.
(‘저녁녘-곡두34’ 중)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나 2021-02-06 22:4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뭐 나의 까짐덕분이랄까 ㅋㅋㅋㅋㅋㅋ 누군가 버렸을 거야. 테두리 까졌거든. 민정언니 안 죽었네 ㅋㅋㅋ 작품이랑 인상은 쎈데 여기저기서 들려오는 풍문으로는 편집자일 때는 다정하고 사려깊다는 소문이 😆

반유행열반인 2021-02-06 22:49   좋아요 2 | URL
술이랑 초장 잘 먹게 생기심 ㅋㅋㅋ정도 많아 보이는데 난 왠지 무서워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하나 2021-02-06 22:51   좋아요 2 | URL
저도요... 👀 ㅋㅋㅋㅋㅋㅋ 도끼 걸어놓은 택시 어쩌구 시 있는데 상황도 무섭구 그걸 시로 쓰는 민정 시인의 “기백”도...

반유행열반인 2021-02-06 22:52   좋아요 2 | URL
저 분은 그래서 삽을 자꾸 사나봐요 도끼도 이길 삽이겠다...

라로 2021-02-06 22:5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시집 사는 엄마의 딸이셨군요, 반열님!!!!🤩🤩🤩

반유행열반인 2021-02-07 06:55   좋아요 4 | URL
시집도 사고 시도 쓰고 하이쿠도 쓰고 소설도 쓰는 엄마 딸이에요 ㅎㅎㅎㅎ

붕붕툐툐 2021-02-07 14:17   좋아요 1 | URL
반열님 어머니 멋지심다!!

라로 2021-02-08 15:23   좋아요 3 | URL
우와!!! 모전여전이었어!!!!🤩🤩🤩🤩🤩🤩

붕붕툐툐 2021-02-07 14:1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음란 마귀😈 등장한 거 저 뿐인가요? 제목 첫줄 읽고..흐음..그래서 헤어진 거야 했다는;;;;

반유행열반인 2021-02-07 14:44   좋아요 1 | URL
시인의 제목은 확실히 노린 게 맞는 것 같고 시는 생각보다 안 야해요 ㅋㅋㅋㅋㅋㅋ

붕붕툐툐 2021-02-07 16:59   좋아요 1 | URL
휴~ 노린게 맞다니(저만 이상한 사람은 아닌거 같아) 다행입니다~ㅎㅎ
시 야하다면 읽어보려고 했는데.. 에잉~ㅋㅋㅋ 한달에 한 권 시집 읽기 넘 좋은 거 같아욤!!

반유행열반인 2021-02-07 17:00   좋아요 1 | URL
이렇게 할당제라도 안 하면 저는 너무 산문형 인간으로 굳어버릴 거 같아서 룰로 정했습니다 그런데 막 안 지키고 ㅋㅋㅋㅋ

얄라알라 2021-02-11 23:0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시집 할당제, 한번도 생각 안 해봤는데 제게도 필요하겠네요. 리뷰와 댓글 읽다보니, 외람되지만 김민정 시인 이미지 검색해보고 싶어지네요^^

반유행열반인 2021-02-12 06:39   좋아요 0 | URL
예쁘고 무섭게 생겼어요ㅋㅋㅋ시집 할당제 해보니까 편식 치유되고 좋네요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