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 한번 써봅시다 - 예비작가를 위한 책 쓰기의 모든 것
장강명 지음, 이내 그림 / 한겨레출판 / 2020년 11월
평점 :
-20201212 장강명.
자꾸 장강명이 낸 책은 다 읽는다. 그만 읽자, 하다가 저번 책 에세이 읽고 왠지 짠해져서 신간 팔아주자, 하고 사 버렸다. 그런데 왠지 작가의 지능적 감성 마케팅에 당해버린 기분…
쓰는 일에 관심은 많지만 글쓰기책이나 작법서는 거의 본 게 없다. 올해 4월부터 11월까지 한겨레문화센터에서 소설쓰기 기초반과 합평반을 수강한 게 돈들여 글쓰기를 배운 처음이자 마지막(…)이다. 반 년 가까이 쉬던 소설쓰기를 다시 시작해 단편 다섯 편 건진 건 큰 소득이었다. 선생님이나 수강생들이 부족한 점이나 의문점을 짚어주는 것도 좋은 경험이었다. 그런데 글이라는 게 배운다고 배워지는 게 아니라는 생각이 더 굳어졌다. 뻔한 소리지만 시간을 들여 계속 쓰고 반복해서 고치는 게 제일 중요하다.(딴짓 그만 하고 제발 그걸 하라고 나새끼야...)
장강명은 장편소설 여러권, 단편소설집, 연작소설집, 르포, 에세이책 다 써 봤고, 신문 기자도 오래했으니 책 쓰는 일에 할말이 많겠다 싶었다.
이 책 한 권에 작가가 써 본 장르는 다 다루었다. 에세이, 소설 쓰기까지는 관심 있는 분야라 그런가 제법 흥미롭게 읽었다. 논픽션 쓰기를 읽을 즈음에는 전혀 다른 장르에 관해 질금질금 30-50페이지씩 한 권에 묶는 게 읽는 이에게 효용이 있을까 잠시 회의가 들었다. 그래도 모르는 분야라도, 당장은 쓰지 않더라도 그 분야를 읽을 때 아 이렇게 썼겠다, 하고 보면 도움되지 않을까 싶어 참고 읽었다.
맨 마지막 부록 중 저자의 세계를 바다와 육지가 접한 항구 마을의 비유로 표현한 글은 무릎을 탁, 치기 보다는 아아아...오그라든다… 왜 내 마음은 울리지 않는가… 나는 바다를 향한 자가 아닌가 보다 싶었다. 작가 지망생, 저자를 꿈꾸는 이를 향한 애잔함과 따스함은 알겠으나, 어떤 부분들은 작가가 그렇게 까던 다른 작법서들과 비슷하여 그닥 도움이 되지 않겠다…(이런 반응을 의식했는지 자신을 전문가가 아닌 동네형으로 겸손하게 표현하고, 적당히 걸러보라고 미리 포석도 깔아 둔다...이런 게 더 얄밉다…) 어떤 부분들은 한 권 분량 채우기 위해 끼워넣은 것 같은 건 기분 탓이겠지... 애정과 선의를 담아 적은 페이지들을 내게 재미없다고 폄하하면 안 되지… 하면서도 아...역시 책 써 내는 법에 관한 책을 써 내는 사람은 그 책으로 돈을 벌 것이고 이 책을 읽은 책을 내고 싶었던 사람 대부분은 책을 내지 못하고 말겠지 하는 생각을 하고야 말았다.
많은 사람이 저자가 되는 세상에 관해 한 친구는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나오지 말아야 할 책이 넘치는 세상에 책 내는 허들을 낮춘다고 해서 더 나아질 것이 없다고 했다. 그 앞에서는 글쎄, 난 장강명 말(아이슬란드처럼 전체 인구의 10퍼센트가 책을 내는 세상 왜 우리라고 못하나!)이 맞는 거 같은데...했었다. 이 책을 읽고 곰곰 생각해보니 왠지 친구가 한 말이 맞는 것 같다고 설득되어 버렸다. (이게 무슨 현상인가…) 목표를 주고 계속 쓰도록 추동하는 일은 좋은 일이지만 희망 고문 같기도 하다. 책이 아니라 그저 쓰는 일 자체가 목적인 사람도 생각보다 많다. 책을 많이 좋아하기는 하지만 꼭 책이어야 하는가? 하는 물음에 꼭! 이라고 말할 자신도, 댈 근거도 별로 없다. 웹페이지, 블로그나 SNS, 일기장 등등 매체는 많으니까. 물성과 소유에 집착할수록 나무가 아야해요. 세상에 팔고나면 나중에 걷어다 불쏘시개도 못해. 냈는데 세상에서 사주지도 않으면 불쏘시개나 해야 돼. 왜 난 벌써 신포도 신공을 쓰고 있는가 ㅋㅋㅋㅋㅋ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1212/pimg_792167114276110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