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아름다운 정원
심윤경 지음 / 한겨레출판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동구, 내 앞에 나타나면 ‘주리 삼촌’처럼 말없이 웃으며 뒤통수라도 몇 대 때려주고 싶은 녀석. 난독증때문에 읽기도, 쓰기도 엉망이고, 게다가 자신의 속엣말도 제대로 끄집어내지 못하는 그 녀석의 속마음을 들여다보는 일은 맑고 깨끗한 물을 들여다보는 것처럼 청량한데다가 서둘러 흘러내리는 시냇물처럼 빠르고 경쾌하기까지 하다.
동구의 마음 속에는 아름다운 정원이 놓여있다. 그곳에는 능소화가 곱게 피어있으며 황금빛 곤줄박이가 노래를 하고 있다. 동구의 아름다운 정원을 들여다보고 난 후, 나는 맑고 경쾌한 시냇물을 떠올렸다. 동구 녀석이 시냇물이 되어서 콧노래를 부르며 아름다운 숲에 생기를 불어넣고, 그 숲의 생기가 새들을 노래하게 하며, 신나게 즐겁게 넓은 바다로 흘러가길 바라면서......
아름다운 정원의 아름다운 ‘황금빛 곤줄박이’는 날개를 다쳐서 날 수가 없다. 동구의 난독을 풀어주시던 박영은 선생님과, 동구의 가족에게 행복을 일깨워주던 영주는 더 이상 동구의 곁에 있을 수 없다. 어디선가 날아온 돌맹이에 날개를 다친 ‘황금빛 곤줄박이’처럼 박영은 선생님과 영주도 어이없이 삶을 놓아버린다. 박영은 선생님이 없다는 것은 동구에게 난독을 풀어줄 사람이 사라진 것이고, 영주가 없다는 것은 행복의 사라짐이다. 결국 동구는 박영은 선생님과 영주를 잃어버림으로써 날개 잃은 ‘황금빛 곤줄박이’가 되는 것이다.
동구는 스스로 자신의 상처를 감싸안고, 다른 사람의 상처까지 감싸안기로 결정한다. 스스로 난독을 해결하고, 스스로 행복을 만들어가는 삶을 선택하는 것이다. 비로소 홀로서는 것이다. 날개를 다친 ‘황금빛 곤줄박이’가 상처를 딛고 날기를 희망하는 것이다. 그 ‘황금빛 곤줄박이’를 구름 위로 날려주고 싶다.
P.S. 이 소설의 시대적 배경인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의 애틋함이 나의 감성을 더욱 자극했을지도 모른다. 동년배 작가인 심윤경 님께 남다른 정이 느껴지는 작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