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는 그 사회의 문화를 대변한다. 우리가 언어를 배운다는 것은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회의 문화 전반에 대하여 알아간다는 것이다. 문화는 언어를 통해 생성, 발전되고 전파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언어는 그 자체가 문화의 한 종류이면서 동시에 문화의 주요 수단이된다. 그러므로 우리 문화에 대한 관심은 우리의 언어인 한글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킨다.한글은 우리 문화의 핵심이다. 세계를 통틀어 창제한 사람과 창제방법이 제시되어있는 유일한 글자로서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자랑거리이다. 그러나 자연스럽게 숨을 쉬면서 공기의 소중함을 잊고 살듯이,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우리의 말과 글인 한글에 대하여도 그 소중함을 잊고 사는것이 아닌가 싶다. 특히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외계어나 어린 학생들의 입에서 튀어나오는 상스럽고 저속한 표현을 대할때면 더욱 그런 생각이든다. 우리 문화가 상스럽고 저속해지는 것은 아닌지...이 책은 한글에 대한 지적 호기심에서 읽게 되었다. 지은이들의 의도 또한 그러한 것임에 틀림없다. 친구의 모르던 과거사를 들으며 그 친구의 삶이 더욱 가깝게 느껴지는 것처럼 이 책을 읽어가면서 한글이라는 언어가 더욱 친숙하게 느껴졌다. 이것만으로도 나의 책읽기는 성공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뒤따라오는 지적 호기심의 충족. 최만리에 대한 오해가 풀리고, 최세진이라는 한글에 대한 새로운 공로자의 발견, 현재의 맞춤법과 표준어가 정해지기까지의 수많은 논쟁들이 재미있게 다가왔다. 물론 배경지식이 부족하여 이해하기 힘든 부분들도 있었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처럼, 내가 아는 만큼만 이해했다. 그러나 이 책은 나의 아는 것을 그 만큼 확대시켜놓았으니 한글에 대한 다른 책을 읽는다던가, 이 책을 다시 읽게 될 때는 더 많은 것이 보일 것이다. 이것이 이 책의 성과이며 조금 어렵게 느끼는 사람들에게 말하고픈 이 책에 대한 옹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