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의 그림자 - 2010년 제43회 한국일보문학상 수상작 민음 경장편 4
황정은 지음 / 민음사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처음, 은교의 그림자가 일어나 은교가 자신의 그림자를 따를 때 무재가 붙들어준다. 

마지막, 무재의 그림자가 일어날 때 은교가 무재의 손을 잡고 함께 걷는다. 그림자는 그 둘을 따른다. 

 

책 소개에 현실과 환상이라는 구절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 

그림자는 현실의 은유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그림자에 눌려 사라진다. 

그림자는 단순히 개인적 상황일 수도 있겠지만, 소설의 흐름에서 볼 때 개인적 문제는 아니다. 

생계의 장소가 슬럼이라는 단어로 정리되고,

결국 사회 속에서 개인의 가치를 지켜갈 수 없게 만드는 냉혹함이 거대한 그림자의 근원인 것이다. 

그 속에서 개인의 구체적 삶은 흔들리고, 각 개인의 그림자가 일어서며 삶을 뒤흔드는 것이다. 

그 그림자를 붙잡아 두고, 삶을 계속 흐르게 하는 것은 무엇일까.  

은교와 무재가 손을 잡고  어두운 길을 함께 걷는 것이다. 

은교와 무재의 그림자가 일어날 수밖에 없는 구체적 상황은 드러나지 않는다. 그저 서로 짐작할 뿐,  

'말하지 않아도 알아~'라는 초코파이의 광고 문구처럼 서로를 이해하거나 이해하기 위해 맞잡은 손. 

그 손을 꼳 붙잡고 어두운 길이지만 함께 걷는 그 힘이 우리에게 필요하다는 이야기일 것이다. 

 

결론은 사랑이다. 아, 사랑!   

이 결론이 하루키의 1Q84를 떠올린다. 이야기의 전개와 사건은 전혀 별개이지만 결국은 사랑이 참된 가치라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