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주목 신간 작성 후 본 글에 먼댓글 남겨 주세요.
새해가 밝았지만 특별한 감회가 없는 것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무기력함의 방증일까. 시간을 보다 성숙하게 이해하기 시작한 것일까. 나의 생활이 일상의 시간으로부터 비켜 서 있다는 의미일까. 일기는 일기장에. 해가 몇 번이 바뀐데도 여전히 책을 손에 붙들고 있기야 할 것이다. 그것이 나의 어떠한 목자가 될 지도 알지 못하는 채로.
2차 세계대전의 영향력 안에 놓여 있는 책들과 영상들을 읽고 보는 중이었다. 이토록 끔찍한 역사가 있었다는 사실을 지금까지 잘도 망각하고 있었구나 싶은 나날이다. 검은 피의 세계는 인간의 그칠 줄 모르는 욕심과 그에 걸맞는 짝인 지나친 궁핍, 맹목적 적대와 맹신에서 비롯되었다. 이제 다시 이러한 전쟁이 일어나리라고 섣불리 이야기할 수는 없겠지만 비극의 조건들은 여전히 망령처럼 떠돌아다니는 중이다.
우연처럼 작년 12월에 발행된 신간 소설 중엔 2차 세계대전의 자장 안에서 쓰여진 소설이 몇 권 눈에 띄었다. 그저 읽어봐야겠다는 마음뿐이다. 우연이 인연이 되기를 바란다.
일본 정부의 우경화가 우리에게 우려로 다가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들의 정치적 사상의 근본인 민족주의의 극단이 잔인했던 과거사의 옹호나 선택지가 없었던 상황에서 이루어진 결과 따위로 변색될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전쟁으로부터의 진심 어린 반성은 외부를 향해서만은 곤란하다. 그것은 마찬가지로 내부를 향해 이루어져야 한다. 전쟁으로 인해 입은 상처는 일본의 외부는 물론이거니와 그 내부로도 짙게 드리워졌다. 원폭 투하 이후의 일본은 불구대천의 원수이자 자승자박이라는 운명론적 속죄의 대상으로만 존재할 수 없다. 그것은 또 다른 비극의 불씨를 살려두는 것이다.
전쟁이라는 참혹함 속에선 모두가 패배자일 수밖에 없음을. 그 진심어린 반성의 출발점을 이 소설에서 발견할 수 있을 것만 같다는 느낌이 든다.
각종 신춘문예와 문예지의 당선작들을 챙겨 보던 시기가 있었는데 그때 읽었던 소설 중에 유독 기억에 남는 소설이 바로 이영훈 씨의 소설이었다. 그 뒤로 독자는 소설가를 잊고 살아도 소설가는 여전히 어디에선가 글을 쓰면서 살아나가 다시 독자의 마음에 노크를 하는 법이다.
알라딘에서 발췌한 소설 속 문장들에서 즉물적인 공감을 느낀다. 아버지도, 중심도, 믿고 따를 진실도, 철학도 신도, 아무 것도 없는 위대한 과거의 지루한 모방인 세대. 비참한 소재의 처참한 패러디의 세대.
아무리 벨 에포크를 탐닉하는 독자라고 하더라도 끈덕지게 밀착된 동시대의 작가에게서 받는 수혜와 위로를 기대하지 않을 수는 없을 것이다. 일단 기대를 해본다.
사실 읽고 싶은 소설이 정말 많은 달이었다. 목록을 간추리며 다섯 권을 꼽기에는 너무 힘들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읽을 수 있는 소설은 읽고 싶은 소설보다 언제나 적은 법이다. 책의 강물을 따라 흘러 간 소설들은 그렇게 돌고 돌아 또 어딘가에서 만나게 되는 그 날이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