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수, 일본을 만나다 역사적 인간 4
하타노 세츠코 지음, 최주한 옮김 / 푸른역사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국이 보통 혼란스럽지 않다. 사람에 따라서는 망국의 기운을 느낄 법도 하다. 촛불을 들어도 마음이 편할 리 없다. 간혹 잠을 설친다. 나도 그 분처럼 보약 같은 잠을 자고 싶다.

과거를 통해서 현재를 파악하고 미래로 나아간다는 말이 사실일까? 저마다 과거를 해석하는 눈이 다르고 현재를 이해하는 틀이 다르고 나아가고자 하는 미래가 다른데 저 말이 사실이라고 해도 어지럽다. 최장집 교수에 따르면 민주주의는 갈등을 근본 원리로 작동하기 때문에 다양한, 특히 사회경제적 소외계층의 목소리가 갈등의 정책적 완화와 타협에 반영될 수 있는 권리와 시스템이 보장되어야 한다. 현재의 선거제도와 대통령 중심제, 정당정치의 수준으로는 그것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이 여실히 증명되고 있다.

글이 다른 방향으로 흘러갔다. 어쨌든 이광수를 (다룬 글을)읽게 되는 이유가 현재의 답답함 때문이라는 이유는 내가 생각해도 요령부득이지만 사실이 그렇다. ‘민족을 위해 친일했다‘는 이 친일 작가의 변론은 이 시대에도 죽지 않고 살아남아 국가를 운영하는, 또 국가를 운영해나갈 힘이 될 것만 같다. 친일작가 이광수의 낙인은 오히려 우리의 판단을 흐린다(질문을 봉쇄한다). 친일은 나쁜 것이라는 프레임 이전에 도대체 무엇이 친일인가(무엇이 나쁜가)를 분명히 물어야하는 시대가 아닌가 하는 물음을 갖게 된다. 민족을 위한 친일은 시대에 맞게 옷을 갈아입는 것이 아닌가? 국가의 성장을 위해 재벌을 키웠다. 국가의 성장이 있고 인권이 있다. 박근혜 정부 이후의 우리를 위해서는 그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한다.

한국 근대문학 연구자인 하타노 세츠코는 이 책에서 그와 같은 물음을 던지지는 않지만 단초를 제공한다. 이광수라는 문제적 인물이 그런 물음을 던진다고 봐야할 것이다. 일본인 학자가 보는 이광수라는 작가는 어쩐지 연민의 대상처럼 느껴질 때가 있다. 김현은 이광수를 두고 ‘만질수록 덧나는 민족의 상처‘라고 평한 바 있다. 이광수를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물음을 나는 이제 막 가지게 되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hoimos 2021-04-28 12: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촛불을 든자 중에 이런 자도 있구나! 이광수만 보면 친일이 정당한 것 처럼 보이겠지만 동시대 이광수의 길을 거부하고 생을 던져서 항일을 한 사람이 셀 수 없이 많다. 분단에 갇혀서 친일인사들만을 접해왔던 것은 아닌지? 목숨걸고 일본인 행세하면서 일본 대사관에 침투해 극비정보를 빼내어 소련군에 전달하고 할힌골 전투를 승리로 이끌어 관동군을 꼼짝 못하게 만든 이도 조선인 김씨 였다. 로만 킴. 이광수의 길과 로만 킴의 길이 어떻게 다른지 찾아볼 맘이나 있는지?

2021-04-28 12:21   좋아요 0 | URL
오독한 게 아닌지? 이광수가 내세웠던 친일의 근거가 어쨌거나 표면적으로는 민족이 강해져야 한다(내심은 다르다 하더라도)는 것이었기에 국가나 민족을 앞세운 논리가 오늘날에도 여전히 통용되면서 다른 의제를 묵살하는 것이 아닌지가 이 글의 논점이자 화두인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