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관리가 미래의 부를 결정한다 - 위험한 대한민국에서 행복하게 사는 법
김중구 지음 / 원앤원북스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세상이 급하게 돌아갈수록 사람들도 덩달아 바빠진다. 오늘 일을 마치기도 전에 벌써 내일 일을 생각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생각지도 않은 일이 갑자기 나타나기도 하고, 전에 준비도 안된 일을 당하는 경우도 있다. 사실 이러한 경우는 기업이 더 심각하다. 그러다 보니 큰 기업들은 나름대로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별도 조직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

 

이 책은 기업이나 은행 등의 위험관리 기법을 개인이 자신의 위험관리를 위해 활용할 수 있도록 정리해 놓은 책이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위험관리라고 하면, 경제적인 또는 재정적인 측면만을 다루지만, 저자는 이것을 재무적인 측면과 비재무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다르고 있다. 즉 한 인간이 살아가는 동안 맞대면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 요소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놓았다.

 

그는 개인의 위험을 이렇게 나누고 있다. 재무위험은 신용위험 시장위험 유동성위험 금리위험 비용위험으로, 비재무적위험은 전문성위험 중년위험 가족위험 기타(의존형위험, 노년위험, 가족배상체계 등)이다.

 

저자는 위험이란 것을 아래와 같은 공식으로 표현한다.

R(위험량)= Exposure (위험노출 액) C Volatility (변동성), 즉 위험량은 현재의 재무적, 비재무적 상황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최대 손실가능 액이고, 이는 자신이 위험에 노출될 액수가 얼마이며, 그것이 발생할 확률이 어느 정도인가에 따라 달라진다고 한다. 다만, 저자는 변동성이란 변수를 우리들은 통제할 수가 없기 때문에, 위험관리를 위해서는 개개인이 통제할 수 있는 위험노출 액을 조절해서 위험량을 관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결국 우리가 해야 할 것은 자신이 위험에 처하게 된다는 것을 가정하고, 그 손실액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항상 구상해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가 이러한 위험관리를 중요시 여겨야만 한다고 주장하는 이유는 바로 우리나라의 성숙도 문제라고 한다. 즉 해외 선진국에 비해 정부가 국민 개개인의 위험관리부분에서 상대적으로 미약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우리들은 어쩔 수 없이 스스로가 위험관리에 더욱 많은 관심을 가지고 이를 관리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이렇게 말한다.

 

MAC와 대한민국의 차이를 개인위험 관점에서 살펴보면 커다란 갭이 존재한다. 공공지출에 관한 우리나라의 지표는 2005년 기준으로 8.6% 정도에 머물고 있다. 20% 이상인 OECD 평균과 비교해 2.4배 가량 차이가 난다. 즉 대한민국의 개개인은 MAC와의 갭만큼이나 스스로 위험을 감당해야 하는 삶을 살고 있는 것이다.

 

저자의 말이 맞다면 우리는 세계의 이목과는 달리, 국민들의 위험관리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후진국에 속한다는 말이 된다. 결국 우리 스스로가 우리를 지키지 않으면 그 누구도 지켜줄 사람이 없다는 것이다. 어떻게 할 것인가? 내가 곧 맞대면해야 할 위험들을 생각해 보고, 이에 대한 대비책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