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의는 아니지만]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고의는 아니지만 - 구병모 소설
구병모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1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구병모의 첫 단편 모음집 '고의는 아니지만'을 읽었습니다. '위저드 베이커리'와 최근에 출간되었던 '아가미'라는 장편으로 이미 제법 알려진 작가지만 부끄럽게도 저는 이번 소설집으로 그를 처음 만나게 되었습니다. 앞서 나온 두 편의 장편을 읽지 못한지라 그에 대해 논하는 것은 아무래도 불가능할 듯 싶습니다. 이번 작품집이 참으로 인상깊었기에 빠른 시일 내에 전작들을 모두 챙겨읽고 그에 대해 이야기할 기회가 있지 않을까 싶네요. 그러니 오늘은 그저 짧게 이번 작품들과 그에 대한 첫만남과 첫인상에 대한 일기 몇자 적고 다음을 기약해야 할 듯 합니다. 

고의는 아니지만 / 소설 / 구병모 / 자음과 모음 (2011)
 

그와 그의 작품에 대한 첫인상은 우선 당혹스러움이었습니다. 당혹스러움이란 좋고 나쁘고의 판단 이전의 감정이지요. 아니 감정이라기 보다는 본능적인 반응이라 하는 것이 옳을 것입니다. 그에게, 그의 작품에게 그러한 반응을 저도 모르게 보인 것은 예상치못한 장황함 때문이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이렇게 장황한 문체는 처음이었습니다. 특히 번역된 외국 소설이 아닌 한국 소설에서 쉼표들과 '~만', '~고'로 연결지어진 긴 문장들이 끊임없이 이어지는 작품을 보는 것은 실로 오랜만이었습니다. 현대소설에서는 군더더기 없이 간결한 문체가 미덕이라 여겨져왔고, 장황하다해도 그것은  윤대녕식의 화려한 비유와 수식 혹은 신경숙이나 은희경식의 화자의 내면을 묘사하는 내적 비유 때문인 경우가 대부분이었기에 기실 장황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더랬습니다. 그런데 이 구병모의 소설들은 좀 다르더군요.  

뭐랄까요. 그는 설명하고 있었습니다. 필요한 모든 것을. 자신이 보여주고 싶고 이해시켜 주고 싶은 모든 것을. 여기서의 설명과 이해란 내적 비유나 화려한 묘사를 뜻하는 것이 아닙니다. 제가 보기에는 정확한 단어선택과 최대한 사실적인 묘사를 통해 자신이 하고 있는 이야기와 자신이 보여주고 싶은 인물의 객관성을 확보하려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그렇게 그의 문장은 장황하지만 화려하지 않았습니다. 그게 바로 제가 당혹스러움을 느낀 이유입니다. 장황함이란 화려함을 대동하기 마련인데, 장황하면서 화려하지 않다니. 소설에서 이럴 수도 있는가. 이런 문체가 과연 소설에 적합하다 할 수 있는가, 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이는 차라리 시나리오나 연극 대본에 적합한 문체입니다. 그렇습니다. 조금 과장을 보태자면 그의 소설은 오랜 시간 영상매체 혹은 공연매체의 극본을 담당했던 시나리오 작가나 극작가가 소설가로 전업해서 쓴 작품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우리가 알고 있는 소설적인 문체와는 다른 느낌이었습니다. 즉, 요즘 젊은 작가들의 마치 영화를 보는 듯 간결하고 스피디한 문장과 구성이랑은 또 다른 느낌이었다는 뜻입니다. 그렇다고 사실에 집착하는 신문기자들의 객관적인 문장과도 또 다른 느낌이었으니 이것 참...더 이상은 설명이 힘들 거 같네요. 그저 이렇게 말할 수 밖에 없겠습니다.  

눈 앞에 보이는 것 이면의 진실마저도 객관화해서 사실적으로 드러내고 싶은 몸부림. 

그것이 바로 그가 장황한 문체로 이 기묘한 이야기들을 꾸역꾸역 써낸 이유가 아닐까요. 실재하지 않을 것 같은 인물, 그들에게 벌어지는 이해할 수 없는 이상한 사건들, 그러나 알고보면 그 누구도 아닌 나 혹은 내 옆사람이 겪었거나 겪을 수 밖에 없는 너소름끼치도록 현실적인 이야기. 이러한 이야기들을 들려주려다보니...우리 모두가 아는 단어와 표현으로 우리 모두가 알지 못하는 진실을 끄집어내어 보여주려다 보니...자연스럽게 그렇게 장황한 문체가 된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니 제가 느낀 당혹스러움이란, 다시 말씀드리지만 좋고 나쁘고를 판단할 수 없는 성질의 것이었습니다. 그의 짧은 이야기들을 몽땅 읽고 나서도 여전히 그 당혹스러움이 가시질 않는 걸 보니 아무래도 그의 전작들을 읽기 전에는 그에 대한 호와 오를 판단할 수 없겠습니다. 그러니 오늘은  이쯤에서 물러날까 합니다. 

조만간 오늘의 이 기분 나쁘지 않은 당혹스러움의 정체에 대해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날이 오지 않을까 싶네요. 그럼 그때 뵙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