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220/pimg_7142821951156420.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220/pimg_7142821951156421.jpg)
만화난장漫畫亂場
시즌 1 열쇳말 : 타자/폭력/저항
일시: 2/26(목) 부터 격주 목요일 저녁 7:30~
장소: 협동조합 가장자리 세미나실(마포구 성지길 36, 3층)
전화: 02-3144-3973
자세한 정보 및 신청: 가장자리 카페 http://goo.gl/l4FSRI
이끔이 : 조익상
국문학과 대학원에서 공부하고 있으며 만화평론가로 활동 중입니다.
<<세부계획>>
0회: ‘만화난장 세미나’를 시작하며
만화를 좋아하는 이유, 만화 세미나에 관심을 가진 이유 등을 나누고 자유롭게 세미나의 방향을 결정하는 시간. 새로운 제안들로 인해 배가 산으로 가더라도, 함께 가기에 기쁠 겁니다.
1회: 텍스트를 만나기. 그래픽노블 두 편을 통해 만화를 읽는 몇 가지 모드를 살펴봅니다. 이끔이가 발제합니다.
- 엠마뉘엘 르파주, 『체르노빌의 봄』
- 안토니오 알타리바, 『어느 아나키스트의 고백』
2회: 타자를 만나기 1
- 완자, 『모두에게 완자가』: 동성애 담론을 중심으로 폭넓게 이야기 나눕니다.
3회: 타자를 만나기 2
- 김보통, 『아만자』: 암환자/시한부 인생/임박한 죽음이라는 두려운 ‘타자’에 대해 폭넓게 이야기를 나눕니다.
4회: 추억 속의 주체화 과정 톺아보기(소년)
- 타케히코 이노우에, 『슬램덩크』 외 추억의 만화들(세미나원들과 함께 정합니다.)이 어떻게 ‘나’의 성장과정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생각해 보고 토론합니다.
5회: 폭력/저항을 직시하기 1
- 오제 아키라, 『우리마을 이야기』 1~7: 밀양과 강정 등 국가폭력 이슈에 대해 토론합니다.
6회: 폭력/저항을 직시하기 2
- 최규석, 『송곳』: 노동 이슈에 대해 토론합니다.
7회: 추억 속의 주체화 과정 톺아보기(소녀)
- 박희정, 『호텔 아프리카』; 천계영, 『언플러그드 보이』 등 추억의 만화들(세미나원들과 함께 정합니다.)이 어떻게 ‘나’의 성장과정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생각해 보고 토론합니다.
8회: 텍스트 다시 보기. 앞선 세미나에서의 배움을 종합하며 이 시대의 고전인 『미생』을 중심으로 이야기 나눕니다.
- 윤태호, 『미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