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스코우에서 경유하는 러시아 항공 티켓을 끊었다. 모스코우 세레에프스키 공항까지는 코드쉐어로 대한항공이 운항되는데, 단지 조금 일찍 체크인을 한 덕분에 비상구좌석을 얻게 되어 난생처음 비지니스 크래스 아닌 비지니스 클래스급 탑승 경험을 하게 되었다. 역시나 비지니스 클래스는 텅텅 빈 상태, 러시아 인 조금과 대부분이 한국인이다. 터키나 유럽 전역으로 가는 여행객들이 대부분.. 가는 내내 이 뱅기로 그냥 런던까지 가면 얼마나 좋을까를 생각했지만, 세상은 지불한만큼의 대접만 돌려줄 뿐. 경유시간은 그나마 짧은 편이다. 2시간 남짓... 원성과는 다르게 세레에프스키 공항은 참을만했다. 금연실도 투명한 칸막이 안에 따로 설치해서 아무데서나 담배피는 사람은 적어도 없었고, 무엇보다 인상적인 것은 난방이다



착륙할 떄 현지 시간이 오후 6시 경이었는데 뱅기 안에서 내려다 볼떄도 공항까지도 눈천지였고, 기온은 영하 1, 그럼에도 전혀 추운 기미를 느낄 수 없었고 오히려 공항 안을 움직이는 내내 더웠다. 이는 히드로나 인천에서도 느낄 수 없었던 수위의 온기다. 특히 히드로는 밤에 도착했긴 했지만 상대적 기온은 높은 상태였음에도 공항 안에 한기가 내내 감돌았다.

 

아에로폴리츠는 역시나 좌석이 압권이다. 파란색 레자 재질에 오렌지색 싣벨트..탑승이 거의 완료되자 마자 스튜어디스가 카트를 밀면서 신문,잡지를 나눠준다. 그떄 처음 깨달았다. 러시아인들이 열렬한 독서가들이란 사실을.. 하나같이 득달같이 읽을 것이 달려들어 하나씩 떄론 두개이상을 낡아채고 읽기 시작하는데, 어떤 젊은 여자는 그것도 모자라서 책을 읽기 시작한다. 밤 비행기임에도 누구도 자려 하지 않고 끊임없이 읽거나 떠든다.. 4시간의 여정인데 음료, 식사 서비스까지 대접하니 비행기안이 쉴 틈 없이 돌아간다.. Jet lag에 지칠때로 지친 나로서는 지옥이 따로 없다. 앉아마자 기내식이 코로 들어가는지 입으로 들어가는지 내내 졸았다. 졸다가 시끄러운 소음에 깨고 환한 조명에 깨고, 스튜어디스의 서비스에 깨고, 옆에는 한덩치하는 남편과 그 아내가 차례로 앉았는데, 그 덩치가 그 좁은 좌석에 몸을 구겨 앉아 있다는 게 기적이었다. 그는 고통을 해탈해려는 듯 끊임없이 뭔가를 읽어댔고, 나와 몸이 닿으면 급하게 죄라도 지은듯 떼는데 바빴는데 나로선 그의 겨드랑이 냄새만 참는데도 이골이 난데다 그런 세세한 움직임까지 고려할 여유가 없이 그냥 골아떨어졌다.. 거의 수면마치를 받은 느낌이랄까.. 

 다행히 수없이 뒤진 인터넷 게시글의 원성과는 다르게 기내 서비스가 나쁘다는가 위탁수하물이 사라졌다든가, 가방이 찢기는 불행은 겪지 않았다. 물론 러시아 공항의 출국 수속내내 세계 최악의 불친절함을 경험하긴 했다. 스캐너를 지날 때 여자 직원은 진짜로 내 복대안에 있는 내용물까지 세세하게 검사했고, 한마디의 영어도 못했고 남자직원은 짜증나는 태도로 가방을 집어던졌다. 같은 백인이라도 러시아인은 척하면 구분이 된다.. (인종차별적 발언이 아니기를)

내 블루엔 레드의 20인치 이하의 가방은 아주 귀엽고 얌전한 태도로 히드로 배기지 클레임에서 나를 기다리고 있었고, 나는 15시간이상 지속되는 건조함에 허옇게 갈라진 입술을 런던의 석회질 물로 축이는데 정신이 없었다.

 히드로 입국장도 생각보다는 한산했고, 테러로 인한 살벌함 따위도 없었다. 입국수속 카운터엔 당장이라도 터져버릴듯한 통통한 아저씨가 느끼한 눈길을 보내며 기다리고 있었는데, 단기학생비자를 달라니까 왜 영어를 배우러 왔느냐, 니 영어는 ok한데 뭐 이런 영양가 없는 질문을 던지더니 스탬프를 꽝 찍어준다. 이 아저씨의 조언대로 물 분수는 화장실 바로 앞에 있었다. 다행히 히드로 화장실의 화장지 질은 모스코우 공항과는 비교가 안되게 좋았다..드뎌 영국에 온 것이다.

 입국장에 들어서니 중년, 중키의 한국남자가 바로 우리를 낡아채서 챌트냄으로 인도하기 시작했다. 유학생들의 픽업만 전문으로 하는 남자였다. 한국 기아의 rv카를 운전했다.

 남자는 우리가 머물게 될 홈스테이 집 골목에 들어서면서 이정도면 꽤 괜찮은 집이라고 안심시켰다. 실제로 새벽 1시가 넘게 도착했음에도 주인집 여자는 불을 밝히고 우리를 기다리고 있었다. 한 덩치하시는 이분은 홈스테이 집에대한 나의 모든 우려를 불식시켰다. 물론 아직 유보적일 필요가 있다. let's wait and see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최은하 2011-03-14 09: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고생했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sub용 철잔차

brand new 흰둥이 spact rc 헤드 위치에 대한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바테입 다시 감는 중- 역시나 너무 어려워서 조금 찢고, 엉성하게 감겼다.. 아마도 새로 사서 다시 감아야 할듯..ㅠ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내가 이 사진을 찍은 한참 후인, 지금 내가 영국에 와 있는 동안 내가 그 이름을 명명한 개인 우리 가족의 오랜 지기(거의 10년동안)가 턱 밑 혹 제거 수술을 받은 후 앓더니 세상을 떠났다. 사실 아직 그 죽음이 실감나지 않는다. 죽음에 대한 철학적 고찰과 실존적 체험은 너무나 극명하게 다르므로..여튼 죽음은 누구에게나 대동소이한 형태로 올 것임을 희미하게 느낄 뿐이다. 개에게나 인간에게나..너무나 작은 체구였는데, 물론 그 종의 특성에 비해선 좀 덩치가 있는 편이었으나, 죽음 직전엔 그 체중의 3분의 1정도를 소실한 채였다.  

이제 나는 하나둘씩 내 주변의 유기체들이 소멸되는 주기에 들었음을 느낀다. 나조차도 내일 모레면 마흔이고, 내 부모는 이미 일흔을 향해 가고 있다.. 이 레이스를 멈출 수 있는 것은 어디에도 없다. 모든 것이 낡고, 노후해져간다는 것은 일견 끔찍하다.. 나는 이 공포를 되도록 떨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음에도 일순간에 그런 생각에 사로잡히며 몸서리를 친다.  

행복하게 나이들기 라는 모토는 얼마나 대책없이 낙천적인가? 이는 행복하게 죽기처럼 공허하게 들린다.  나는 죽음앞에서 유쾌해질 정도로 해탈하지 못했다..아마도 영원히 그러할 것이다.  

그럼에도 죽음이 이 개에게 공평하지 않았기를.. 

내 모친에게도 그러하기를.. 

더 너그럽다면 내게도 그러하기를..더 더욱 그렇다면 내게 그전에 한 순간의 불멸의 순간을 제공하기를.. 내 생에 찬란한 순간의 쉼표를 제공하길,,바라옵고 바라는 바이다.. 

peace!! 

                                                                                                                  2011.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분신들
최수철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8년 11월
평점 :
품절


<분신들>은 문지사에서 나온 단편소설 모음집이다. 대부분 문지사가 간행하는 격월간지에 발표된 작품이란 얘기다.

최수철은 캐나다 체류중인 괴짜 작가 ''박상륭''에게서 많은 영향을 받았는데, 주로 ''도플갱어''란 주제에서 그렇다. 도플갱어는 주지하다시피 수많은 소설의 모티브로 활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소위 종교적 신비주의자들이 탐닉하는 주제이기도 하다.

<분신들>에는 수많은 도플갱어들이 도착적으로 얽혀 있다. 소위 후기산업사회를 살아가는 소시민들의 군상은 어쩌면 근본적으로 비슷할 수밖에 없을지도 모른다. 허름한 술집에서 혹은 따닥따닥 붙어있는 연립 주택에서 당신은 누군가를 스친다. 피로와 자기연민으로 쩔어있는 당신의 시선 안으로 그들은 자신의 존재를 부각시킬 수 없다. 그러나 어느 사소한 순간 당신은 바로 그들의 피로와 자기 연민의 냄새를 맡고, 어쩌면 그들이 당신의 또 다른 모습이란 사실을 깨닫는다.

이러한 주제를 노골적으로 그리고 압축해서 보여주는 것이 바로 이 소설집의 마지막 소설인 ''분신들''이다.

한 사내가 다리 위에서 토막 시체를 버리다 잡힌다. 그는 잡히기 위해서 그렇게 대놓고 시체를 유기했다고 말한다. 그들은 자신의 분신들이 끊임없이 자라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살인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말한다. 그의 진술을 끊임없이 경청하던 담당 검사는 자신이 그의 또 다른 ''도플갱어''란 끔찍한 사실을 깨닫는다. 

비교적 최근에 발표된 최수철의 <페스트>는 <분신들>의 연장선상에 있다. 분신들에서 보여 준 세계는 더욱 더 어두워져 있고, 이 사회의 소시민들은 누군가에 의해서 죽임을 당하기 전에 서로 경쟁하듯이 목숨을 끊는다.

마치 데칼코마니처럼 이 사람은 저 사람에 의해 대칭이다. 마치 분신들이 페스트의 대칭이듯이. 분신들은 서로 대칭적으로 행복하며 또한 불행하다. 그들 삶의 합은 산술적 합이 될 수 없으며, 단지 공명을 이룰 뿐이란 사실이 분신들을 아름답게 혹은 끔찍하게 채색하는 여운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