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해방
피터 싱어 지음, 김성한 옮김 / 인간사랑 / 199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무척 재미난 연구서다. 마빈 해리스의 인류학적 연구서들을 단행본으로 재밌게 읽은 기억이 있는데 피터 싱어도 그렇게 다가온다. 그러나 데스몬드 모리스가 주는 '공평치 못한' 시선은 어디에도 없다. 담백한 맛... 모리스는 그게 결여되어 있으며 연구자 같지 않게 지나치게 기름기가 많이 들어간 문체로 독자들을 자신의 독선적 편견으로 인도한다. 그러면 안된다. 애초에 끌리기는 하겠으나 뒷맛을 씁쓸하기 그지 없다.

이 책은 '복날'에 그 진가를 재 발휘한다. 지난 57년에 처녀출판되었지만 이 책에서 싱어가 역설하는 내용은 아직도 먼나라 얘기처럼 들리는 것은 특히 복날에 있어 심하다. 견공들을 잡아먹느냐 마느냐에 있어 다른 나라의 칠면조고기나 달팽이 요리 송이지 요리등과 비교하고만 앉았으니 그렇게 변호하면 까마귀가 까치더러 니가 더 검다고 하면 그게 거먼게 허얘지는 것도 아닌 데 말이다.

무엇보다 이책의 관건은 '동물 해방을 급진적이로나 감정적으로 촉구하는 과오'를 범하지 않고 '철학과 윤리'를 전공한 사람답게 최대한 이성에 호소한다는 점이다. 감정에 호소하긴 정말 쉬운 일이다. 글이란 걸 보이기 위해서 쓰는 사람들은 이 점을 매우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성에 호소해서 이성을 움직이는 일이란 커다란 바위를 움직이는 것 만큼이나 힘겨운 일이며 싸움이다.

게다가 그것을 마치 게임을 하듯 흥겨운 분위기 속에 서 이끌고 있다는 것. 그것은 그의 '순수성'과 '감각'이 고차원적이란 것을 암시한다. Green Peace의 대원들 혹은 몇 몇 채식주의자들 사이의 논쟁, 즉 급진적 환경운동이 또하나의 새로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그들이 지나치게 격앙된 나머니 폭력과 폭력적인 시위로 육식주의자들과 환경에 별 관심이 없는 무식한 대중들을 질타하는 것은 그 심정은 이해가 가나 사실 그런 급진적인 태도는 오래 견뎌낼 수도 없고 효과도 별로 없다. 그렇다고 행위를 하지 말라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오히려 지나친 행위와 설득은 사람들에게 불안감과 위화감을 야기하기 쉽다. 결국 부작용을 일으키기 쉬운 처치란 것이다. 그럴 바에야 안하는 게 낫지 않을까?

몇몇 육식주의자들은 실제로 자신들이 채식주의자들에 비해 '현명하며' 현실적인' 사람들이라며 자위하며 산다. 그들을 일종의 노이로제 환자로 취급하면서 말이다. '풀만 먹는 **들' 하면서 인간 취급도 안하지.. 그러나 이책을 읽으면 그런 생각이 얼마나 비인간적인지를 알게 될 것이다. 그렇다고 다른 사람들에게 거부반응까지 야기해 가면서 마치 전도사 처럼 이리 저리 우왕좌왕하며 동물해방을 파는 것도 좋아 보이지 않는다. 실천하되 조용히 물 흐르듯.. 그것이 모든 해방운동의 성공비결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