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의 인간
알베르 카뮈 지음, 김화영 옮김 / 열린책들 / 1995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나의 내면에는 끔찍한 공허가, 가슴아픈 무관심이 도사리고 있다.' 프랑스의 식민지 알제리에서 태어난 까뮈. 그의 자전적 소설이며 마지막 소설이다. '모든 인간은 최초의 인간'이란 그의 언명은 알제리의 할렘가에서 성장한 작가의 성장기 속에서 더욱 명징한 감동을 남긴다. 인간 이하의 환경과 억압 속에서도 '모든 인간'의 '권위'를 주장하는 말이기 때문이다.

이 소설을 읽으며 참으로 오랜만에 그리고 오랜 동안 2층 버스 안에서 흔들거리며 학교에 오가며 수많은 세상에 대한 불안, 불만, 해석을 토로하는 작가의 그림자가 어른거렸다. 창 밖에 보이는 건물과 건물 사이 쳐진 거미줄 같은 소시민들의 '빨랫줄'이 바짝 타오르기 시작한 태양에 힘입어 빨래를 말리고 있는 풍경. 복작거리는 거리. 수업, 교사의 편향된 사관과 균형있는 '사실'을 추구하는 이제 막 중학생. 현실 이면의 것. 현실을 파고 들어 무한한 현실들의 고리를 찾는 것. 낡은 버스는 그것을 작가에게 가르친 것이 아닐까?

'다시 말해서, 혈통과 용기와 노동과 잔혹하면서 동시에 관대한 본능, 그 모든 차원에서의 익명성 그리고 그 이름 없는 고장, 군중과 이름없는 가정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했던 그, 그럼녀서도 비천함과 익명성을 집요하게 요구하는 그 누군가를 내면에 지니고 있는 그 역시 같은 종족에 있었다.'

<이방인>에 비하면 폭넓고 자상한 설명과 묘사로 쉽게 익힌다. 그러나 한편으로 보다 숙성된 문학적인 표현이 넘친다. <이방인>이 껄끄럽고 바짝 마른 '낱장'의 느낌이라면, <최초의 인간>은 방부 처리된 기름기가 느껴지는 '묶음'의 책이다.'그애도 간 당신들을 혐오해, 내가 볼 때 세상의 명에는 힘있는 자들이 아니라 억압당하는 사람들에게서 살아 있는 것 같아. 불명예도 바로 거기 있는 거야. 역사 속에서 억압당하는 사람드리 일단 각성하고 나면 그때는 무서운 세상이 되는 거야.'

까뮈와 싸르트르의 역사적 결별, 그 이후 까뮈는 너무나도 빈번히 그리고 무참하게 프랑스 좌파 지식인들의 공격 대상이 되었다. 그 악의에 찬 공격들은 알제리 전쟁과 카뮈의 노벨상 수상을 거쳐 그의 죽음의 순간에까지도 계속되었다. 까뮈의 노벨상과 싸르트르의 노벨상의 의미는 다르다. 까뮈의 비공산주의 정신과 싸르트르의 공산주의적 이상론. 까뮈가 더 예언적이었다는 사실이 옳을 것이다.

'사무실에서 하는 일은 어디서 온 것도 아니고, 어디에 이르는 것도 아니었다. 팔고 사는 것은 모두가 그 보잘 것 없고 미미한 행위들 주변을 맴도는 것이었다. 비록 지금까지 가난 속에서 살아 왔지만 자끄는 그 사무실에서 천박함이 무엇인지를 처음으로 발견했고, 잃어버린 빛 속에서 눈물을 흘렸다.'최초의 인간에게 매일 똑같이 반복되는 무의미한 임무, 카프카가 어느 날 갑자기 '벌레'가 되버린 인간을 그리는 장난을 한 것은 그런 이유에서다. 차라리 인간이 되길 포기하는 편이 편안할 것이다. 딱딱한 갑피 안에서, 분화되지 않은 속가락 덕에 적어도 '골 때리는' 노동은 피할 수 있을 테니.

'진정한 사랑은 선택도 아니고 자유도 아니다. 마음은 특히 마음은 자유로운 것이 아니다. 그것은 불가피성이며, 불가피성의 인식이다. 그런데 그가 진정 마음 깊은 곳으로부터 사랑한 것은 '불가피성' 뿐이었다. 이제 그에게 남은 것은 자기 자신의 죽음을 사랑하는 것뿐이다.' 오직 '어머니만 사랑한 것은 아니었을까'를 되묻는 작가. 그에게 사랑은 '생명'과 동일한 것이다. 그럼에도 글을 읽지 못한 그의 어머니는 '나의 유일한 사랑은 영원한 벙어리'라고 아프게 표현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