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인 알베르 카뮈 전집 2
알베르 카뮈 지음, 김화영 옮김 / 책세상 / 198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충격이었다. '번개를 잉태한 폭풍우'에 흠씬 두들겨 맞은 기분이었다. 흡사 '황야의 이리'처럼 한 권의 책도 사지 않은 채 하루종일 그 안을 휘젓고 다니면서 나는 무엇을 찾고 있었을까? 나의 사춘기는 이렇듯 기묘한 형태로 그 서막을 연주하였던 듯 싶다. 원하지 않는 모습으로 변해 가는 나의 육체, 그리고 도저히 비집고 들어가 고쳐 보려 해도 도저히 바뀔 것 같지 않았던 어른들의 세계, 내가 살고 있는 세계의 균열은 금새 파열로 이어졌고 언제 세상이 무너져 내릴 지 모를 암담함 속에서 나는 하루 하루를 보내고 있었다. 아무 것도 하지 못한 채, 내가 극복해야 할 대상이나 이룩해야 할 목표라는 것은 사치로 여겨질 만큼 난 어리석었다. 난 어리석었고, 메말라 있었고, 굶주려 있었다. 누군가 장난으로라도 툭치면 이빨을 한껏 드러내고 달려들 만큼 나는 야만적이었다.

이런 내 손에 우연히 잡힌 한 권의 책이 있었으니 그것은 알베르 까뮈의 <이방인>이었다. 나는 이 책을 사지 않았다. 충동적으로 상의 속에 재빨리 숨겼다. 그리고 그대로 서점을 나와 집으로 향했다. 점원이 쫒아 나와 경찰서로 끌고 갈 것만 같아서 계속 심장은 방망이질을 했다. 그러나 아무 일도 없었다. 이 최초의 모험이 대단한 승리처럼 여겨졌고 엄청난 희열감을 안겨 주었다. 결국 이 때의 기분을 잊지 못한 채 나는 이후에 몇 번이나 같은 행위를 반복했다. 중독된 것처럼 서점에 들어가면 훔칠 것을 반사적으로 계획했다.

상한 숭늉 냄새를 풍기는 벽지에 무너질 듯 기대 누워 읽으며, 나는 심한 구역질을 느꼈다. 그것은 내 영혼 속에 또 다른 자아가 생겨나면서 시작된 불가피한 입덧이었다. 니체의 말처럼 독서는 분명히 시작부터 내게는 죄악이었으며, 독서란 남의 자아에 끊임없는 관음증을 품는 일이었을 것이다. 책의 내용을 소화할 수 없었기 때문에 더욱 더 그 잔여물들은 내 내부에 깊이 남게 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책은 위안이나 휴식이라기 보단 정신의 가혹한 고문에 가까웠다. 그러나 나는 이후에 겨우 한 가지 나의 목적을 깨달았다. 일상의 균열을 뚫고 파열을 뒤로 한 채 무한으로 치달을 것, 고통으로 점철된 현실의 진공관을 뚫고 희미한 빛을 향해 광속으로 직진할 것... 더 이상 나는 그 밖의 것을 중요하게 여길 수 없게 되었다.

한때 나는 도서관이나 서점에서 어떤 책을 찾아내거나, 우연히 발견했을 때, 이 '사건을 통해' 내 정신은 비약해서, 너무나 현명해진 나머지 복잡한 미궁 속에서도 금새 길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책들과의 만남으로 내 정신은 일상의 궤도를 이탈하고, 우주의 섭리를 관통하며, 미지의 행성으로 향하고 있다는 거대한 착각이었다. 이 때 책은 단순히 오락이나 경험의 수단이 아니라 정신의 법열로 가는 비밀스러운 열쇠였다.

그런데 이러한 발상은 망구엘 선생의 말대로 '미신적인 악덕'인지도 모를 일이다. 책을 지나치게 믿고 숭배하는 미신에 가까운 신앙의 한 양태였을 것이다. 과거형을 쓴다고 지금은 그렇지 않다는 것은 결코 아니다. 그 정도가 약화되었는지는 모르지만 나의 믿음은 그리 쉽게 흔들리지 않고 있다.그렇게 책을 읽음으로써 나는 여전히 '이방인'으로 남아 있을 수 있었다. 그 이유는 내게 있어 책 읽기가 '죄악처럼'이 아니라 '죄악'이기 때문이다. 그 지위가 결코 유쾌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 '진홍의' 증표를 내 목에 기꺼이 걸었다.

1분중 0분께서 이 리뷰를 추천하셨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