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가장 백미일 것 같은 장. 

에고의 실체를 밝혀랏!!


Most people are so completely identified with the voice in the head that we may describe them as being possessed by their mind. As long as you are completely unaware of this you take the thinker to be who you are. 

내 머릿속에서 계속 재잘대는 그 사람이 나라고 여기는 건 참 당연해보인다.


This is the egoic mind.

근데 그건 에고같은 마음이란다.


Egos only differ on the surface. Deep down they are all the same.

사람마다 다르게 보이지만 저 깊이 내려가면 에고는 모두 똑같이 작동한다.


Every ego is continuously struggling for survival, trying to protect and enlarge itself.

생존기제?


When I criticize or condemn another, it makes me feel bigger, superior.

남탓하기 좋아하는 사람들은 어디서 뭐가 잘못된 것일까?


Complaining is one of the ego’s favorite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itself.

Name-calling is the crudest form of such labeling and of the ego’s need to be right and triumph over others: jerk bastard, bitch.

일단 그렇게 라벨을 붙여 단정지으면 일이 간단해지니까.


Resentment is the emotion that goes with complaining and the mental labeling of people and adds even more energy to the ego. You resent other people’s greed, their dishonesty, their lack of integrity, what they are doing what they did in the past, what they said what they failed to do, what they should for shouldn’t have done. 

난 얼마나 사소한 일에 분개하는가?


Instead of overlooking unconsciousness in others, you make it in to their identity.

그리고 쉽게 그들에게 죄과를 뒤집어 씌우고 단정내리지. 


Non-reaction to the ego in others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not only of going beyond ego in yourself but also of dissolving the collective human ego.

반응하지 않기. ‘아 그렇구나.’하고 그냥 지나치기. 내 마음에 일어나는 걸 지켜보고, 억누르지 않은 상태로 지나가게.


The ego loves to complain and feel resentful not only about other people but also about situation.

삶이 지옥이 되는 순간.


Complaining is not to be confused with informing someone of a mistake or deficiency so that it can be put right. 

유독 교정하고 싶은 사람이나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면?


The moment you become aware of the ego in you, it is strictly speaking on longer the ego, but just an old, conditioned mind-pattern.

내 안의 에고를 계속 타자화시키는 방법. 누구세요? 어머 예전에 그렇게 말썽피우던 그 분? 하면서.


Through reacting against this or that they assert and strengthen their feeling of self.

늘 화낼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 


어린 시절 또는 삶의 중요한 한 대목에서 겪었던 중대한 사건이 누군가의 발목을 잡고 평생 그 과거에 매여있는 경우. 명절마다 반복되는 잘잘못 가리기. 논쟁할 때마다 나오는 그때 그 실수. 


Don’t try to let go of the grievance. Trying to let go, to forgive, does not work. Forgiveness happens naturally when you see that is has no purpose other than to strengthen a false sense of self, to keep the ego in place. 

그렇다고 용서하려고 ‘노력’하는 건 좋지 않다. 자연스럽게 우러날 수 있도록.


The past has no power to stop you from being present now. Only your grievance about the past can do that. And what is a grievance? The baggage of old thought and emotion.

내가 구축한 그 퍼셉션. 세월이 지날수록 강해지거나 혹은 약해지는 그 생각. 그것들의 노예가 되어 계속 누군가를 적으로 만들고 미워하는 마음에 먹이를 주고 있는 건 아닌지….


하지만 안맞는 사람은 늘 안맞는다. 아무리 반응하지 말아야지 하고 다짐을 해도. 그 사람 안에 강한 에고가 그를 사로잡고 있기 때문에 나만의 노력으로는 한계가 있다. 어떻게 하면 반응하지 않을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내 안의 에고를 타자화시킬 수 있을까?


When you complain, by implication you are right and the person or situation you complain about or react against is wrong.

뒷담화의 효능.



“Believe me, I know” or “Why do you never believe me?” then the ego has already crept in. The “I” feels diminished or offended because somebody doesn’t believe what “I” said.

중요할 때마다 내 편을 들지 않는 남편에게 정기적으로 집요하게 추궁한다. 그리고 내가 뭔가 잘할 때마다 내 효능을 분명하게 명시한다. 나의 에고는 그저 강한 것일까? 아니면 뭔가 꼬여있는 것일까? 왜 나는 내 반려자가 언제나 내 말을 기꺼이 온 맘으로 지지해야 한다고 여기는 걸까? 왜 때때로 냉소적이고 지나치게 이성적인 그의 태도가 달갑지 않은 걸까? 


Every ego is a master of selective perception and distorted interpretation.

더구나 언변이 좋고, 치밀한 사고력을 가지고 있다면 자신이 맞고 상대방, 세상이 틀렸다는 걸 증명하는 데 탁월함을 보인다. 


Only through awareness - not through thinking - can you differentiate between fact and opinion. Only though awareness are you able to see: There is the situation and here is the anger I feel about it, and then realize there are other ways of approaching the situation, other ways of seeing it and dealing with it. Only through awareness can you see the totality of the situation or person instead of adopting one limited perspective.


요즘 부쩍 상황에 대한 인식차를 좁히기 위해 집요한 네버엔딩 토론(일명 끝장토론)을 자주 연다. (아마도 집에서 같이 보내는 시간이 늘어서 그런 것 같다.) 그간 살아온 시간들과 지속적인 패턴에 대한 ‘분석’을 가장한 비난과 공격이 이어지고 과연 우리가 가진 ‘차이’를 극복할 수 있을까,에 대한 회의가 몰려오면 ‘결혼은 역시 미친 짓이었나’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이렇게 다른 데 어떻게 좋아할 수 있을까, 하는 인간에 대한 의문도 들고.


이 대목을 읽으니 농담으로라도 상대방을 공격하고, 자신의 효능을 강조하는 건 좋은 습관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오히려 즉각적인 반응에 대해 잠시 거리를 두고, 반응을 지켜보고, 알아차리는 것이 이 책에서 제시하는 대안인데…. 

문제는 과연 진짜 원인은 무엇일까, 끊임없이 생각하게 된다는 것. 다시 이유를 찾고, 원인을 찾고, 그렇게 해서 찾은 결론에 다시 상황을 대입하게 된다. ‘생각하지 않고 알아차린다’는 건 구체적으로 어떤 걸까? 다시 정독.


If the belief “I am right; you are wrong” is one of the ways in which the ego strengthens itself, if making yourself right and others wrong is a mental dysfunction that perpetuates separation and conflict between human beings, does that mean there is no such thing as right or wrong behavior, action, or belief?


If you believe only your religion is the Truth, you are using it in the service of the ego.


Can the Truth be put into words? Yes, but the words are, of course, not it. They only point to it.

= The finger pointing to the moon is not the moon. 이랑 같은 얘기.


What is it that lies at the root of this insanity? Complete identification with thought and emotion, that is to say, ego.

전쟁과 학살, 분쟁과 다툼이 모두 에고에서 출발한다는 인식은 자칫 환원론 또는 지나치게 현실을 단순화시키는 면도 있는 것 같다. 개인간의 다툼에서 작동하는 “I am right, you are wrong”의 인식이 확장하면 국가간 전쟁이 되는 건 당연하지만.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갈등을 에고를 제대로 인식하는 걸로 해결할 수 있을까? 그건 많은 사이비 교주들이 주장했던 바가 아닌가. 그럼에도 인간의 집단적인 의식을 끌어올리는 일은 인류세의 절멸을 막기 위한 중요한 방법 중 하나라는 생각에는 동의한다. 


When you are in the grip of a mind-set such as “war,” your perceptions become extremely selective as well as distorted.

심기일전하는 게 꼭 좋은 것만은 아니다. 



Ego is a conglomeration of recurring thought forms and conditioned mental-emotional patterns that are invested with a sense of I, a sense of self.

저자가 정의한 ‘에고’다.  


Recognize the ego for what it is: a collective dysfunction, the insanity of the human mind. When you recognize it for what it is, you on loner misperceive it as somebody’s identity. Once you see the ego for what it is, it becomes much easier to remain nonreactive toward it. You don’t take it personally anymore. There is no complaining, blaming, accusing, or making wrong. Nobody is wrong. It is the ego in someone, that’s all. Compassion arises when you recognize that all are suffering from the same sickness of the mind, some more acutely than others. You do not fuel the drama anymore that is part of all egoic relationships. What is its fuel? Reactivity. The ego thrives on it.

아름다운 말이다. 


하지만 누군가를 쉽게 긍휼히 여기는 것 또한 내가 우위에 서고자 하는 에고의 발심은 아닐까? 혹은 손쉬운 정신승리일 수도 있고. 내 안에서, 혹은 누군가에게서 일어나는 것을 바라보고 즉각적으로 대응하지 않는 것만으로도 에고가 괴물로 급속히 성장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정도.


When the ego is at war, know that it is no more than an illusion that is fighting to survive. That illusion thinks it is you. It is not easy at first to be there as the witnessing Presence, especially when the ego is in survival mode or some emotional pattern from the past has become activated, but once you have had a taste of it, you will grow in Presence power, and the ego will lose its grip on you.

분노가 나를 훑고 지나가며 내 몸을 점령했을 때 에고를 알아채기란 어렵다. 하지만 한 번 의식하기 시작하면 조금씩 근육을 키우듯이 에고에 쉽게 휘둘리지 않을 수 있는 힘을 얻게 된다. 


Only Presence can free you of the ego, and you can only be present Now, not yesterday or tomorrow. Only Presence can undo the past in you and thus transform your state of consciousness.

현재에 머무는 것이 답. 

매순간 알아채려면 매순간 깨어있어야 한다는 얘기.



Whatever form it takes, the unconscious drive behind ego is to strengthen the image of who l think I am, the phantom self that came into existence when thought - a great blessing as well as a great curse - began to take over and obscured the simple yet profound joy of connectedness with Being, the Source, God. 

내가 누구인지 생각하면 할수록 어쩌면 미궁에 빠지는 이유이기도. 오히려 나라는 상에 매달리지 않고 비정형의 나를 받아들일 때 나에 대해서 더 유연해질 수 있지 않을까. ‘유연한 나’라는 생각의 고착도 버리고. 無我 

(결국 불교로 회귀하는구나.)


The underlying emotion that governs all the activity of the ego is fear. Why fear? Because the ego arises by identification with form, and deep down it knows that no forms are permanent, that they are all fleeting. So there is always a sense of insecurity around the ego even if on the outside it appears confident. 

부지불식간에 떠오르는 불안은 결국 어떤 것도 영속할 수 없다는 에고의 자각에서 비롯한 두려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