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만 읽고 달아오르는 일은 별로 흔치 않은데, 요즘 너무 많은 책들의 서문이 나에게 달려든다. 서문을 읽으면 안 읽고는 못배긴다. 서문에서 제시한 문제와 어떻게 풀어나가겠다는 지도가 쫙 펼쳐지면서 아주 진땀나는 트레일러를 본 것 같아서. 멍뭉이와 가벼운 마음으로 애견카페를 찾아 여유롭게 킨들을 펼쳤는데, 그만 한 손으로는 연신 장난감을 던져주며 한 손으로는 킨들을 붙잡고 순식간에 서문을 읽어버렸다. (킨들의 장점은 word wise 기능 덕분에 사전을 찾지 않고도 술술 읽힌다는 점. 현란한 광고창이 없으니 몰입형 독서에는 때로 아이패드보다 낫다. 물론 밑줄 쫙쫙 그어가며 적극적 인터랙션을 일으키는 PDF 독서에는 패드가 발군의 실력을 발휘하지만.)


저자의 말마따나 정신분석학, 신경과학 할 것 없이 인간의 의식 밑에 도도히 흐르는 어떤 강물의 실체를 밝히기 위해서 최근 몇십 년 간, 특히 최근 몇년 간 부단히도 노력해왔다. 도대체 인간이 그런 행위를 하는 데는 무슨 동기가 있는가! 그걸 밝히느라 꿈을 분석하고, 트라우마에 접근하고, fMRI에 뇌를 집어넣고, 유전자를 분석하고 등등. 


Psychiatrists and neuroscientists have long debated how best to plumb the deep waters of human motivation. Whatever the method, the objective is clear: to discover the feelings, motives and beliefs that lurk below the mental ‘surface’ of conscious awareness - to chart, in short, our hidden depths.


하지만 ‘hidden depth’ 따위는 없다고 일찌감치 단언한다.


우리는 문학작품을 읽으면 어떤 캐릭터에 대한 해석을 가공해내듯 우리 경험 속에서우리 자신과 타인에 대한 해석을 지어낼 뿐이다. 

We invent interpretations of ourselves and other people in the flow of experience, just as we conjure up interpretations of fictional characters from a flow of written text.


삶을 살아간다는 건 소설의 전개와 크게 다르지 않다. 문제는 우리 마음을 들여다본다는 건 자기성찰의 능력을 갖고 있는 것처럼 얘기하게 되는데, 저자는 성찰이란 이해(perception)의 과정이 아니라 이야기를 고안(invention)해내는 과정이라고 말한다. 내적 세계란 신기루에 지나지 않다고.

The very idea of ‘looking’ into our own minds embodies the mistake: we talk as if we have a faculty of introspection, to scrutinize the contents of our inner world, just as we have faculties of perception, to inform us about the external world. But introspection is a process not of perception but of invention: the real-gime generation of interpretations and explanations to make sense of our own words and actions. 


The inner world is a mirage.


The truth is not the the depths are empty, or even shallow, but that the surface is all there is.

많은 종교 또는 철학에서 인간의 의식 단계를 규정한다. 즉자적인 상태에서 의식이 고양될수록 더 높은 차원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걸 설파하는데. 이건 뭐 그냥 그런 거 따위는 없다고 대놓고 부정해버리니 누군가 잔뜩 쌓아올린 탑을 와르르 부수며 ‘이번 판은 나가리’하고 외치는 격이랄까.


믿음, 동기 이런 것들은 상상력의 산물이자 우리 행동을 합리화하기 위해 지어낸 이야기라는 것, 처음부터 끝까지 전적으로 꾸며낸 거짓말이라는 얘기다. 마치 소설 속의 등장인물을 이해하기 위해 그러는 것처럼.


Our mind is continually interpreting, justifying and making sense of our own behaviour, just as we make sense of the behaviour of the people around us, or characters in fiction.


하지만 우리 뇌는 나름의 일관성을 갖고 이야기를 지어내기 위해 안간힘을 쓴다. 이전의 생각이나 행동하고도 얼라인이 맞아야 스스로 붕괴하지 않을 테니까. 그래서 우리 마음의 비밀은 hidden depth가 아니라 과거에 맞게 우리의 현재를 창의적으로 그려내는 능력에 있다는 것. 


So the secret of our minds lies not in supposed hidden depths, but in our remarkable ability to creatively improvise our present, on the theme of our past.


그리고 다시 한 번 벼른다.

We’ll find that almost everything we think we know about our minds is false.


상식적인 이야기는 고쳐 쓰는 게 아니라 버리는 게 상책이라나?

The common-sense story needs to be abandoned, not patched up.



우리 뇌는 소설을 쓰는 것처럼, 어떤 세계를 전적으로 창조하기 보다는 한 문장 한 문장 개연성 있는 문장들을 이어붙이면서, 우리는 과거와 현재를 이으면서, 그 순간의 의식적인 해석을 창조해내는 엔진이라는 거다.

Our brain is an engine that creates momentary conscious interpretations not by drawing on hidden inner depths, but by linking the present with the past, just as writing a novel involves linking its sentences together coherently, rather than creating an entire world.


이름하야 extension of perception!!


몇 년 전 <우리는 왜 자신을 속이도록 진화했을까?>라는 호기심 당기는 제목에 이끌려 샀다가 고만고만한 이야기에 책을 덮었던 것과는 좀 다를 것 같은 느낌이 확.


하지만 내 책상에는 <산스끄리뜨 금강경 역해>가 딱 노려보고 있는데!


Our freedom consists not in the ability magically to transform ourselves in a single jump, but to reshape our thoughts and behaviours, one step at a time: our current thoughts and actions are continually, if slowly, reprograming our minds.

매순간 우리는 우리 생각을 다시 프로그래밍하는 거라고. 여기서 실존주의 철학과 만난다.


I have now, somewhat reluctantly, come to the conclusion that almost everything we think we know about our own minds is a hoax, played on us by our own brains. We will see later how the hoax is done, and why it is so compelling.

다소 스포일러 같지만 그렇게 하실 거라고.


This requires a systematic rethink of large parts of psychology, neuroscience and the social sciences, but it also requires a radical shake-up of how each of us thinks about ourselves and those around us.

새로운 시각, 낯선 접근, shake-up은 늘 반갑지만 제발 허세로 끝나지 않길 바래본다.




뇌과학, 마음, 철학, 인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