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혼자가 편한 사람들의 관계 심리학
데보라 잭 지음, 이수연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2년 9월
평점 :
절판
혼자 있기를 좋아하고 인맥관리를 왜 많이 해야 하는가! 라는 질문을 하면서 살아가고 있는 사람으로써 내용이 궁금하여 단숨에 읽고 나서 메모를 하지 않을 수 없어 다시 펼쳐보니 무엇보다 관계 쌓기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신의 본래 모습에 편안해지고 최고의 자기 자신을 세상에 내놓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작가의 표현이 가슴에 와 닿았던 부분이고 내성적인 사람들은 이 책을 통해서 살아가면서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으리라고 생각하면서……
책은 1부의 인간관계 때문에 쩔쩔매는가? 라는 주제를 놓고 내향형인간과 외향형인간의 다른 부분 특히 관계를 이어갈 때의 상황을 장점과 단점을 들어가며 설명하고 있으며,
2부 혼자가 편한 사람들의 소통 매뉴얼에선 세분화된 내향형인간의 소통을 위한 매뉴얼로써 이 부분은 따로 메모할 필요 없이 항상 곁에 두고 있는 편이 좋을듯할 정도로 잘 정리되어있는 내용을 볼 수 있다
1부의 내용을 살짝 공개하면, 내성적인 사람은 생각이 많고, 집중력이 뛰어나며, 자립심이 강하다. 이런 특징이 나쁜 것인가? 누구라도 고개를 저을 것이다. 그런데 왜 가지 자신에게 만족하지 못하고 이 특징들을 활용하지 않는가? 잠시 이러한 특징을 깊이(집중해서), 혼자서(자립적으로) 음미(생각이 많고)해보기를 그리고 서두를 필요 없다고,
관점전환에 관해 당신이 그림을 하나 소장하고 있는데 특별하지 않은 검은 틀 속에 끼워져 있다고 상상해보자. 이제 연장 통을 열어 펜치를 가져오기 바란다. 펜치를 요령 있게 사용하여 그 그림을 틀에서 꺼내는 것이다. 그런 다음 가게로 달려가 당시의 그림에 어울리는 액자를 골라 끼워 넣는다. 그러면 그림이 달라 보일 것이라는 비유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며,
2부의 내용은 표현대로 매뉴얼로써, 낯선 행사에 참석해야 한다는 것 때문에 불안해하지 말자. 기분이 좋아지기를 기다리기만 해서는 언제까지나 하염없이 기다리게 될 것이다. 문을 박차고 나가라고 겁먹지 말고 자신을 믿으라고,
많은 매뉴얼 중에서 믿음 바꾸기 연습을 보면, 일단 당신이 좋아하는 것들을 체크해보자. 잊지 말기를. 생각의 틀을 바꾸기 위해서는 무조건 믿어야 한다. 혹은 논리적인 사람이라면 불신을 잠시 접어야 한다. 무언가가 경험적인 사실인지 아닌지를 확실히 몰라도 상관없다. 중요한 것은 논쟁에서 이기는 것이 아니라 더 큰 성공을 위해 두뇌를 다시 쓰는 것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