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과 섹스 - 생명은 어떻게 끝나고 다시 시작하는가?
도리언 세이건 & 타일러 볼크 지음, 김한영 옮김 / 동녘사이언스 / 2012년 1월
평점 :
품절


죽음은 아무것도 그냥 소멸되듯 사라지는 것일까?

섹스가 왜 존재하는가?

두 권의 짧은 책을 하나로 합쳐 놓았다. 죽음과 섹스 상반되듯 보이지만 깊은 연결성이 있는 것은 죽음은 생명과 함께 시작되고 생명은 섹스를 하므로 탄생이 있어서일까?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잠재되어 있는 것을 우리들은 알고 있는데 표현하거나 논하기를 꺼 꺼려하고 있는 것이겠죠!

 책의 절반은 죽음. 그리고 절반은 섹스에 관해 사람을 비롯한 생명체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을 글로써 설명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죽음의 현상을 앎으로써 두려움 보다는 자연현상의 일부로 받아들일 수 있게 하였고, 섹스의 진정한 목표는 번식이며 바로 생명 때문이지만 좋은 섹스는 즐거운 삶처럼 유희의 한 요소인 유머가 담겨있다는 것이다.

 

죽음에 관한 내용 중에 만약 지구를 먹을 수 있고 유기체들이 마음껏 번식할 수 있었다면, 생명이 진화한 뒤 수십억 년 전에 출연한 미생물들처럼 큰 유기체들도 지구 전체를 먹어 치웠을 것이다. 반드시 죽음이 존재해야 했다. 죽음은 동물의 먹이사슬에 폭력적인 형태로 존재한다 그러나 동물 생체의 노화에는 깊이 생각 해볼만한 독특하고 중요한 또 하나의 패턴이 존재하므로 앞으로도 많은 연구가 필요함을 말하고 있는 듯

 그리고 죽음을 둘러싼 관습들은 왜 존재할까? 에서는 생존을 위해 필요한 일들, 즉 육식동물을 피하고 질병 가능성에 노출되는 것을 제한할 필요성이 장례의식을 발명한 동력이었음을 우리는 쉽게 상상할 수 있다고,

 

섹스 편에서도 왜 섹스를 하지? 번식을 위해서 그렇다면 왜 번식을 하지? 에 관한 이야기가 펼쳐지면서, 종은 성적인 충동에 의해 유지되고 존속한다. 물론 사람들은 온갖 이유로 섹스를 한다. 번식 말고도 사랑을 보여주기 위해, 쾌락과 기분전환을 위해, 힘을 느끼기 위해, 자신을 뇌물로 바치기 위해, 운동을 위해, 심지어 두통을 없애기 위해 섹스를 한다

 또한 성적 충동이 우리에게 사랑과 죽음을 준다면 그것만으로도 충분할 것이다. 그러나 성적 충동은 그 이상의 것들을 준다. 섹스는 긴장의 끈을 풀고, 사랑은 다시 그 끈을 만든다. 그러나 성적 이끌림은 유기체들을 단지 성적으로가 아니라 여러 면으로 연결시키고 있다고……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 여자집 2012-02-01 23: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평 잘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