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예술의 혼 - 술의 역사를 논하다
장혜영 지음 / 어문학사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속제의에서 신을 섬기기 위해 고안된 악 가무는 인간을 위한 술자리와 저잣거리의 주점에서 종교적 외의를 벗어 던지고 순수예술로 재 탄생한다. 여기서 술은 감성의 세계에서만 향유 가능한 흥분과 낭만으로 충만하나 취중의 공간으로 음악과 가무를 초대함으로써 예술로 한 단계 격상시키는 것이다.

 

 윗글에서의 표현대로 책에서는 4개의 장으로 신을 위한 술 신을 위한 예술, 인간을 위한 술 인간을 위한 예술, 고통과 술 그리고 예술, 술과 상업 그리고 예술로 나누어 술이 우리와 역사를 같이 하면서 삶의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우리나라와 중국의 역사 속에 술의 변천사를 보여주고 있는데,

 안타까웠던 부분은 우리의 역사 속 전반을 통해 침체와 부진의 수렁에서 헤어 나오지 못한 원인은 폐쇄된 사회, 낙후된 경제, 종교 예속적인 이데올로기라는 척박한 토양에 뿌리를 내렸기 때문이라는 표현이었다

 

1장의 신을 위한 술, 신을 위한 예술에서 술이 배를 불리는 음식과 피로를 회복하는 약품으로 섭취되는 순간 한국인은 술이 유도하는, 자유와 낭만이 창조하는 예술의 공간을 상실하고 말았다는 표현에서 우리나라의 반주의 유래를 찾아보는 대목이다

 

2장에선 인간을 위한 술, 인간을 위한 예술을 말하고 있는데 무속의 몰락은 술을 신의 전유물에서 해방시켰고 술은 신을 위한 음악을 인간의 즐거움을 위한 예술로 끌어내렸다. 무례함과 아름다움, 급박함과 기괴함 그리고 사람이 마음을 산란하게 하는 음란함도 죄다 술이 정신을 자극한 결과이다

 그리고 신라 문인들의 대한 부분에서 다른 나라의 문자로 민족의 정서를 완벽하게 표현한다는 것도 어불성설이고 한문을 말과 글이 다른 향찰로 문학작품을 저술한다는 것도 마찬가지로 힘에 부치는 작업일 수 밖에 없다. 한문과 향찰의 사이에서 신라의 문학은 시들어 버리고 말았던 것이라며,

 

그럼에도 술은 인간을 자유로운 환상과 낭만이 넘치는 예술의 세계에로 인도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것이다. 예술창작자에게는 영감과 상상의 자유를, 감상자에게는 낭만과 흥분을 안겨주는 마술사와 같은 존재이다. 예술을 무속의 억압에서 구원해준 구세주라는 명예를 술에게 부여하는 것은 조금도 과분하지 않음을 강조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