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극은 그의 혀끝에서 시작됐다 - 심리학자와 언어전문가가 알기 쉽게 풀어낸 말의 심리
박소진 지음 / 학지사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책을 통해서 상대방과 자신의 진심을 읽고 그 속에서 행복에 이르는 작은 길을 발견할 수 있다면 이란 저자들의 바램은 책을 읽으면서 양파껍질을 벗기듯 말에 대한 우리들이 가지고 있었던 궁금증이나 무심히 넘겼던 행동에 대해 좀더 생각하며 대화를 할 때는 상대방에 대한 배려가 뒤따라야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면서,

 

책은 오해와 상처, 진실 혹은 거짓, 분석과 공감, 실수와 유희, 표정과 몸짓으로 나누어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고 들어 봄직한 드라마나 영화의 장면에서 생각해볼 수 있는 언어뿐만이 아니라 비언어와 관련해서 설명하고 있으며, 간결하면서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접근하면서 단락별로 중요한 부분은 복습하듯 볼 수 있게 되어있으며, 직접 상담한 내용과 함께 상황극까지 곁들여 있는 세심함이 돋보였다

 

오해와 상처에서는 자기개방을 말하고 있는데 낯선 사람과 친해지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자신을 내보여야 하는데 여기서 필요한 것이 인생을 살아가면서 평생을 통해 이루어지며. 자신에 대한 이해와 수용이 가능한 후에 적절한 자기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통찰이라 하며,

적절한 자기개방은 서로가 자신의 정보와 감정을 공유할 수 있을 만큼의 신뢰가 쌓였을 때 가능하다고 말한다.

 

진실 혹은 거짓에선 사랑과 용서 그리고 무엇보다 칭찬과 격려를 말하고 있는데, 칭찬은 결과에 초점을 두는 반면 격려는 과정에 초점을 둔다. 그래서 격려에는 가치판단이 배제될 수 있고, 언어적. 비언어적인 격려가 모두 가능하다.

 그러므로 칭찬을 들은 아이들은 호감을 사려고 같은 활동을 더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격려는 결과에 따라 판단하기 보다 아이의 능력을 반영하는 대화법이라고,

  예로써, 인형머리를 예쁘게 빗어주는 아이를 보고 “와 예쁘다 잘하는구나” 라면 칭찬이고, “인형 머리를 어떻게 빗기는지를 잘 알고 있구나”는 격려에 해당한다.

 

그리고 드라마나 영화에서 가끔 쓰여지는 눈동자의 움직임에 대한 것 중에 감각적인 사고 활동을 담당하는 오른쪽 뇌를 쓸 때는 눈동자를 왼쪽으로, 논리적인 사고 활동을 담당하는 왼쪽 뇌를 사용할 때 눈동자를 오른쪽으로 굴리는 것과 같은 대화 속에서 어색함을 넘길 수 있는 짧은 지식도 포함돼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