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안에 고요를 만나다 - 차(茶) 명상과 치유
정광주 지음, 임재율 사진 / 학지사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급한 마음이나 급할수록 돌아가란 말을 많이들 하면서 살지만 막상 자신이 그 상황이 되면 실천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은 흔치 않다 그러므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마음의 치유를 필요로 하지만 자신은 그것을 깨 닿지 못한 체 시간이 흐른 뒤에야 비로소 느끼지만 이미 많은 느끼지 못했던 고통 속에서 살아왔기 때문에 어느 정도로 마음의 치유가 필요한지조차도 모르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은데, 차를 마시면서 느낄 수 있는 것에 대한 설명과 함께 명상의 기본이 되는 고요, 평정심, 명료한 마음의 기본인 내려놓음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면서 직접 해볼 수 있어 더욱 도움이 될 것이다.

 

책에서는 명상을 종교적 틀로 단정짓고 일상 밖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매우 편협한 시각이라고 꼬집으면서 차와 명상을 영혼샤워의 시간이라 말하고 있다.

 

첫 번째는 차명상을 시작하기 전 찻자리준비 부터 퇴수기까지 차를 마시는 방법과 명상기법 등을 접목하여 심신의 안녕, 치유 그리고 성장을 도모하는 것에 대한 것과 두 번째에서는 다양한 차와 명상에 관한 것으로 차의 종류, 특징, 마시는 순서, 우리 몸과 마음에서 어떠한 현상이 일어나는가 하는 것과 마지막으로 명상, 아름다운 중독이란 제목으로 잠자리에서 즐기는 명상의 과정까지 설명해주고 있는데 나는 와선의 즐거움에서 설명한 과정을 따라 해보면서 편안한 잠을 이룰 수 있어서 좋았으며, 차와 명상을 홍차가 집에 있기에 간략한 찻상을 이용해 실천해보았는데 좀더 다양한 차를 준비해야겠다는 작은 욕심이 생겼으며,

 

내용의 일부 중 퇴수기 명상 편에서는 지나칠 수 있는 마무리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는 내용으로 소박한 찻상, 우아한 마무리를 간직한 퇴수기. 삶의 모든 순간이 꽃봉오리라고 한 어느 시인의 말처럼, 찻자리의 마지막 자리인 퇴수기에는 숨겨진 꽃봉오리가 깃들어 있습니다.

찻상에서 외따로 떨어져, 그 자리의 모든 것을 말없이 받아 주는 퇴수기. 거기에는 사라지는 것들을 정화하는 고요한 아름다움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