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1분에 4,500번쯤 회전하는 보관디스크를 갖고 있다.
나는 그 디스크에 있는 것들을
이름, 크기, 날짜, 파일유형, 또는 문장별로 검색할 수 있다.
1분이면 원하는 편지를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
아주 좋다. 그것은 내 마음을 스쳐지나가는 기록들이다.
몇 달에 한번씩 나는 사다리를 놓고 들창문을 통해
다락방으로 올라간다. 그러면 먼지가 잔뜩 묻은 들보 너머로
편지뭉치가 들어있는 회색구두상자가 보인다.
거기에는 내가 10살이었을 적에
가장 좋은 친구로부터 받은 발렌타인 카드가 들어있다.
대학시절에 애인으로부터 받은 편지도 있다.
거기에서 원하는 편지를 찾으려면 1시간쯤 걸릴 것이다.
하나하나 볼 때마다 추억에 잠기기 때문이다.
아주 좋다. 그것은 내 마음에 말을 하는 편지이다.
어느 날 아침에 깨어보니
손으로 글씨를 쓰는 일이 사라져 버렸다.
사람들은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는
자신의 모습을 개발하면서 살아가며,
그 모습은
글씨,
서명,
목소리,
옷차림,
악수하는 태도에서 나타난다.
전자우편을 보낼 때에는 이 모든 것이 빠진다.
나는 전자우편을 보내고 나서 후회한 적이 많다.
그러나 편지를 쓸 때에는 생각할 시간이 많다.
나는 쓴 것을 한번 더 읽고,
봉투를 쓰고,
우표를 붙인다.
다시 생각해볼 시간도 있다.
잔뜩 화가 난 채 밤에 쓴 편지를
다음날 햇빛 아래에서 다시 읽어보기도 한다.
클리포드 스톨, <허풍떠는 인터넷> 중에서
............................................................................................
2004.4.13 (00:33) @싸이월
이 글은 대학교 시절 어느 수업에선가
인터넷을 바라보는 찬반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두 책(또다른 책은 빌 게이츠의 <미래로 가는 길>이었다) 중의
한 권으로 제시되었던 <허풍떠는 인터넷>에서 발췌한 내용인데
다른 내용은 다 까먹고
이 대목만 일기에 써놓아 가끔씩 들여다보며 다짐을 하곤 한다.
"그래, 편지를 써버릇해야 돼."
2002년 6월 선거 전날
우남기 선생님 댁에 놀러갔을 때
또래들과의 편지쓰기 시간에
편지지 뒷면을 장식하던 구절로 쓴 적이 있기도 하다.
여하튼
이 글을 읽는 분들이
잠시나마 미친 척하고 편지를 한번 써보는 계기가 되면
더 바랄 게 없겠다.
나한테 쓰라는 게 아니다.
생각나는 사람의 집주소를 몰래 입수해서
한번 보내보는 건 어떨까 제안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