빼앗긴 이름 

 

 아득한 옛날에 우리 나라 사람은 이름과 성을 따로 가지고 있지 않았다. 어느 사람에게 그냥 어느 이름이 있었을 뿐이라고 한다. 그러다가 이웃 중국에서 사람들이 성과 이름을 따로 지닌 것을 보고 '성명' 제도를 채택했다고 한다.  

 '모밀 국수'의 경우에 모밀이 국수를 꾸미듯이, '김철수'의 경우에 '김'이 '철수'를 꾸민다. 따라서 '김철수'의 뜻은 '김'씨 집안의 '철수' 또는 '김'이라는 성을 가진 '철수'가 된다. 이 세상에서 철수가 아주 많을 터인데, 그 가운데에서도 김씨 집안의 철수를 들추기 위해서 '김철수'라고 말한다. 그러니 '김철수'라는 성명의 속 알맹이는 철수이다. '김철수'의 '김철수' 됨에는 '김'됨보다는 '철수'됨이 훨씬 더 본질적이다. 

 우리 나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이름의 종류는 거의 무한대에 가까우나 성의 수효는 한정되어 있다. '김'이라는 성을 가진 사람의 수효가 너무나 많아서, 누가 그를 '김'이라고 부름은 그를 '한국인'이라고 부름하고 아주 크게 동떨어지지 않는다. 누가 그를 김 선생이라고 불렀다고 해서 이름을 기억하는 공적의 인정을 크게 받지 못한다. 그가 '철수'라는 이름을 기억해야만 그의 김철수에 대한 높은 관심도가 인정된다. 

 옛날에는 누가 손아랫사람인 '김철수'를 부를 때에, 그가 '너'이면 '철수야'라고 불렀다. '김철수'가 부르는 사람의 생각에 높은 사람이면 '김 선생님'이라고 불렀으되, 존대의 대상이지만 꽤 가까운 사람이면 '철수 씨'라고 불렀다. '철수 씨'라고, 상대방을 존대하면서도 가깝게 생각하면서 부르던 경우가 성인끼리 하는 호칭의 큰 부분을 차지했다. 

 옛날의 '철수 씨'는 이제 '미스터 킴'으로 바꾸인다. 또 그 자리에서 '순애 씨'는 '미스 킴'이 되고, 그가 시집간 다음엔 '미세스 팍'이 된다. 다만 이 '미스 킴'은 경상도 지역의 도시에선 '김 양'(일본말)이 되기도 한다. (또 경상도 지역의 도시에서는 '철수야'가 '김 군아'가, 그리고 '순애야'가 '김 양아'가 되기도 한다.  

 서양에서의 '미스터', '미세스' 또는 '미스'는, 우리 나라에서의 경우와는 달리, 누구를 '아무개 선생님'이라고 불러야 할 만큼 사이가 멀고 높은 예의를 갖추어야 할 경우에 사용된다. 그 말들의 뜻이 우리 나라에 들어와서는 전도되어서 '씨'를 갈음하게 되었다. 많은 한국인들이 서양 사람과 서양말로 하는 대화 속에서 서양말들을 이 전도된 뜻을 두고 사용하기 때문에 그들을 당황시키기도 한다. 

 이와 같은 서양말이나 일본말이 우리 나라 말 속에 들어와서 어휘를 풍부하게 했다면 불평할 이유가 없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 말들의 한국어 속에서의 사용은 거기에 해당하는 한국어를 죽이거나 변질시킨다.  

 나는 '김철수'가 자기의 본래 이름인 '철수 씨'를 빼앗기고 '미스터 킴'이 된 것을 불쌍히 여긴다. 그리고 내가 그를 '철수 씨'라고 부를 때에 시대 감각에 뒤진 사람이 되어야 하는 것이 한스럽다.  

천구백칠십오년, 배움나무 

<뿌리깊은 나무의 생각> 한창기 지음/ 윤구병 외 엮음 (휴머니스트 출간, 200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