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무새 죽이기에 대한 버벌님의 아름다운 글에서 저자 하퍼 리와 버벌님 모두 서문을 아주 싫어하신다길래 생각난 페이퍼.
버벌님과 달리 난 서문을 아주 좋아하는 편이다. 장문에다가 작가의 개인적인 이야기가 잔뜩 담긴 서문을 마주하게 되면 순대국에서 맛있는 머릿고기가 평소보다 더 담긴것 같은 푸짐한 기분이 들곤 하는데, 이는 분명 내가 작가들의 작품 못지않게 작가들의 개인적인 삶에도 관심이 많기 때문일 것이다. 이것은... 작가들이 기대하는 이상적인 독자의 태도와는 거리가 상당히 멀어 보이지만 맛있는 머릿고기의 유혹을 뿌리치긴 힘들다.
서문에 대한 취향을 말하는 것 조차 굉장히 우스꽝스러운 일이라는 생각이 들지만 난 스티븐 킹의 서문들을 아주 좋아한다. 스티븐 킹은 스스로 자신의 서문에서 밝힌 바와 같이 문장은 간결할 수록 좋으며, 작가들이 자신의 작품에 대해 쓴 글, 즉 서문'따위'는 작품과는 아무런 연관이 없는 뒤늦은 헛소리이기 때문에 (이러한 이유로 '서구 문명이 낳은 위대한 100대 서문, 혹은 미국인들이 사랑한 최고의 머릿말들' 같은 책은 없다고 하였다) 오히려 그 '평가에서 자유로움' 을 만끽하며 마음껏 써질러(라는 표현을 용서해 주기를) 대는듯 하다.
내가 다작을 하는 작가라고? 내가 팬케익 보다 많은 책을 팔아먹은 작가라고? 니들 마음대로 생각해라! 이 서문이야 말로 아무리 길어지고 장황해도 니들이 간섭할 수 없는 내 것이다. 왜냐면 이건 다 허튼소리니까! 홀리 쉿!
블라 블라 블라
![](http://blog.ala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start.gif) |
|
|
|
그럼에도 나는 열아홉 살을 꽤 좋은 나이로 여긴다. 어쩌면 가장 좋은 나이인 듯도 싶다. 그 시절에는 밤새도록 로큰롤을 즐기다가도 음악을 멈추고 맥주가 다 떨어지면 생각할 시간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큰 꿈을 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봤자 언젠가는 심술궂은 꼬맹이 교통정리대원이 찾아와서 콧대를 납작하게 만들어놓을 테지만, 그럼에도 만일 처음부터 초라한 꿈을 품고 시작한다면, 맙소사, 나중에 그 꼬맹이한테 당하고 나서 당신한테 남은 건 고작 바지 앞단추밖에 없으리라. 그러면 녀석은 "또 한 놈 추가요!"라고 외치고 나서 살생부를 손에 쥐고 성큼성큼 떠나갈 것이다. 그러니 조금쯤은(또는 상당히) 건방져도 괜찮지만, 물론 여러분의 어머니께서는 분명히 다르게 말씀하실 것이다. 우리 어머니도 그러셨으니까. 어머니가 말씀하시길 "스티븐, 교만한 자는 나락으로 향하는 법이란다." 하셨는데..... 어쨋거나, 내가 열아홉의 두 배쯤 나이를 먹었을 무렵에 깨달은 바로는, 누구나 결국에는 나락으로 떨어지는 법이다. 아니면 도랑에 처박히거나
다크타워의 두번째 서문 중
|
|
|
|
![](http://blog.alad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end.gif) |
더군다나 다크타워는 완결편 이후에 완결이 늦어진 변명과 완결에 이르기까지의 험난한 여정을 보여주는 서문을 한번 더 붙였고, 기구한 운명의 스탠드에 대해 말하자면, 수십년전 출판된 초판에서 '인쇄할 페이지수로 인한 재정적인 이유' (편집자가 작품성을 위해 잘라낸 것이 아닌) 로 인해 스스로 잘라내었던 이야기들을 덧붙인 최종판이 나오면서 이에 대한 변명과, 전체적인 스토리 흐름과 상관없는 페이지가 추가된 것 왜에는 달라진 것이 없음을 모르고 구매하지 말 것을 경고하는 장황한 서문이 추가 되었다.
다크타워 시리즈를 4부까지 집필하고발간하는 동안 긴 공백이 생길 때마다 팬레터가 수백 통씩 쇄도하였는데 대개는 '그러다 된통 후회할 날이 올 거요.' 같은 내용이었다. 내가 아직 열아홉 살이라는 착각에 빠져 방황하던 1998년에는 이런 편지를 받은 적도 있다.
"올해 여든두 살 먹은 할멈이우. 개인적인 사정으로 폐 끼칠 생각은 없었는데 이걸 어쩌면 좋누! 내가 요즘 많이 아파."
할머니가 말씀하시길 당신은 살날이 1년밖에 안 남았건만("땅 파고 들어갈 때까지 14개월쯤 남았대. 온몸에 암이 퍼지는 바람에 그만.") 내가 롤랜드의 이야기를 끝낼 기미가 보이질 않으니, 부디 (제발 좀) 결말을 미리 알려줄 수 없겟냐고 하셨다. 편지에는 (다시 집필을 시작할 만큼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내 심금을 울린 구절이 있었으니, 바로 할머니의 약속이었다.
"아무한테도 얘기 안 할게!"
이러니 내가 이 보너스 머릿고기에 대한 집착을 버릴수 있겠는가? 앞으로도 자기 작품과 자신의 삶에 대한 때늦은 후회와 주절거림을 잔뜩 담은 책들이 많아지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