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세자의 고백
이덕일 / 푸른역사 / 199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제 아무리 신분사회에서 살지언정 내 출생이 미천하고 어머니의 신분이 평생 족쇄처럼 따라다닌다고 해도, 왕권이라는 권력의 맛이 아무리 달콤하다 해도 아들을 내 손으로 죽이는 悖倫을 범하지는 못 했으리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 사도세자나 영조에 대한 내 생각은 이 정도였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前無後無한 세자가 뒤주 속에서 죽어가게 된 사건의 顚末을 파헤친 이 책을 통해 많은 것을 알게 되었고 생각하게 됬다.

하늘보다 높다는(?) 지아비를 자신의 親庭을 위해 죽음으로 몰고 간 혜경궁 홍씨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게 되었고, 당파가 다르다는 이유로 세자의 목숨도 파리목숨처럼 만드는 신권이 강력했던 나라가 조선이었으며 부자지간의 연도 당파 앞에서는 無用之物이 되는 나라가 바로 조선이었다는 사실이다. 역사나 국어시간에 영조는 蕩平策을 써서 정치를 안정시키고 치세기간도 가장 길었던 왕으로, 혜경궁 홍씨는 언문으로 한중록을 지은 賢母良妻로 미화시켜서 가르치고 있지 이복형인 경종을 疑問死시키고 남편인 사도세자를 죽음으로 몰고 간 여자라는 사실은 말하고 않고 있다.

역사는 피해자가 먼저 화해의 손을 내밀 때 그 상처가 아물어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어릴 적 뒤주 속에서 죽어가는 生父를 그저 지켜볼 수 밖에 없었던 정조가 정치적인 보복보다는 자신의 통치기반을 튼튼히 하는 한편, 아버지의 정적들이자 할아버지와 어머니의 동지였던 신하들 견제하였다. 그것을 기반으로 화성을 축성하고 사도세자를 장조로 추존하였으며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 수 있지 않았나하는 생각을 해 본다. 정조 또한 석연치 않은 한참의 나이에 의문의 죽음을 맞이 했지만 사도세자의 억울한 죽음은 조선의 르네상스의 밑거름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결국 조선은 사도세자를 죽음으로 내몬 이들에 의해 차츰 망해갔던 것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