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철의 세계건축기행
김석철 지음 / 창비 / 199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지막장을 덮으며 잔잔한 아쉬움이 남는다. 책 속의 건축물 중 직접 본 것들에 대한 추억을 되살리며 왜 그때는 그것을 느끼지 못했던가하는 것과 아직 보지 못한 걸작 건축물들을 보고 싶은 바램이.... 현존하는 훌륭한 건축가로 손 꼽기를 주저하지 않는 사람들이 꽤 많은 것으로 알고 있는 김석철님의 크기를 깊이를 느낄 수 있었던 책으로 평가하고 싶다.

이 책에도 소개가 되었던 팡떼온에 갔었다. 한번은 가이드에게 이끌려, 한번은 신혼여행 중에 힘들어 하는 건축물에는 별 관심이 없는 아내의 손을 이끌고. 이리저리 좁은 골목길을 돌아 쉽지 않게 찾아간 그다지 넓지 않은 광장에 면해 있는 조금은 꾀죄죄한 색깔의 팡떼온을 처음 본 내 느낌은 압도당했다고 표현하는 것이 맞을 정도로 꽉 찬 느낌이었다. 아내의 표정은 애개였고. 조금은 초라하고 꾀죄죄한 건물의 외관에 조금은 실망한 표정이었다. 그러나 가이드북의 시원찮은 설명에 김석철교수의 해박한 설명 중에 내가 기억하고 있는 부분을 보태어 주저리주저리 설명을 달고 팡떼온의 내부에서 이루 말 할 수 없는 경건함에 도취된 표정으로 바뀌었다.

지상에 발을 딛고 서 있는 어느 건축물도 태생의 사연이 없는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아무리 아름다운 건축물이라도 미적 측면 하나만 가지고 평가를 한다면 제대로 된 평가라고는 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태생의 배경, 건축 재료, 공간 분할, 건축 목적, 주변 환경과의 조화 등등 종합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평가하고 이용하고 감상을 할 때만 진면목을 알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 측면에서 김석철님의 책은 그런 궁금증과 무지함에 단비와 같은 시원함이었다고 감히 말하고 싶다.

오랜 시간동안 대지를 딛고 서 있는 건축물에 대한 고찰뿐만 아니라 건축에 새로운 개면을 도입한 혁명적인 건축물들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책과 한국의 건축에 대한 심도있는 분석과 해석을 담은 연작들을 기대해 본다. 좋은 내용을 담고 있는 책이라 생각이 되고 책에 소개된 건축물들을 모두 한번씩은 직접 보고 싶은 마음 간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