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색기행 - 나는 이런 여행을 해 왔다
다치바나 다카시 지음, 이규원 옮김 / 청어람미디어 / 2005년 4월
평점 :
절판


 어느정도 유명한 작가이기는 했지만 다치바나 다카시의 책이라고는 읽어본게 2어권이 전부인 것 같다. 그런 와중에 다치바나 다카시의 <사색기행>이라는 책이 나왔는데, '나는 이런 여행을 해왔다'라는 부제와 함께 파란색의 것표지는 선뜻 책을 집어들게 만들기 충분했다.

 책을 펴보자마자 600쪽에 가까운 분량에 놀랐지만, 책을 읽기 시작한 뒤로는 그 분량이 별것 아니라고 느껴졌다. 이 책은 여행기이지만, 자신의 느낌을 위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여행기나 그 외 여행관련 지식을 얻기 위해서 책을 읽는 사람에게는 그다지 도움이 될 만한 책이 아니다.

 그도 그럴것이 책 내용의 대부분이 그가 느낀것과 생각한 것들이고, 이것들 마져도 10~20년 이상 지난 글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정보를 주기에는 그다지 적합하지 않은 면도 있다.

 하지만 오래되었다고 해서 특별하지 않은 책이란 것은 아니다. 일단 자신감 있는 그의 문체에서부터 쉽게 재미를 느낄 수 있는데, 역시 유명한 저널리스트이기 때문일까 정말 쉽게 글이 읽혀내려간다. 그가 젊었을 때 유럽을 여행한 이야기부터(나로서는 상상도 하지 못할 경험이라고 생각한다) 가장 최근의 이야기까지 다양한 이야기들을 다루고 있는데 책의 몰입감이 상당하다. 한번 붙들면 몇시간은 기본이었으니 뭐..

 그의 여행 스타일이 뭐 특별히 좋다거나 그런것은 아니지만 그가 경험한 것들은 특별했다. 내가 지향하는 모습과는 다르지만, 이렇게 나와는 다르지만 한곳에서 특별하게 드러나는 사람의 생각을 읽을 수 있다느 것은 너무나도 즐거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와 관계해서 몇십년동안의 이야기를 한권에 풀어넣은 이 책은 때로는 조금 엉성하거나, 시작하려는 듯 하다보니 끝나버리는 글도 많지만 역시 즐거운 책임에는 이견이 없다.

 시간이 그리 많지 않았던 관계로 이 책을 10일 가까이 들고 있었는데, 그 시간이 절대 아깝지 않아서 너무 즐거웠다. 특별하지 않은 여행기. 하지만 즐거운 책. 나도 이런 글들을 쓸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화가 사석원의 황홀한 쿠바
사석원 지음 / 청림출판 / 2004년 6월
평점 :
품절


많은 사람들이 그렇듯 쿠바에 대해 동경을 품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사실 쿠바가 잘사는 나라도 아니고, 우리에게 잘 알려진 나라도 아니건만 여행을 조금 해본 사람이라면 쿠바에 대해서 관심있어 하는 사람들이 많다. 무엇이 그렇게 쿠바를 매력적으로 만드는지에 관해서는 많은 쿠바 관련 책들이 서술하고 있듯이, 헤밍웨이나 체 게바라, 살사나 룸바같은 것들이 주가 아닐까 싶다.

이런 쿠바에 대한 관심으로 집어든 책이 바로 화가 사석원의 '황홀한 쿠바'였다. 사실 나는 미술에 관해서는 젬병이기 때문에 사석원이라는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도 잘 알지 못하고, 그저 책에 소개된 대로 유명한 사람이겠거니 했다. 글을 쓰는 사람이 아니라 화가의 입장에서 본 쿠바의 모습은 어떨까 하는 기대감이 있었기 때문에 첫장부터 나오는 사진들은 나를 흥분시키기에 충분했다.

그러나 여기까지 였다. 몇장 읽지 않아서 이 사람의 글에 대한 기대는 확 사라져버렸다. 의미없는 것들까지 어떻게든 의미를 부여해서 이쁘게 글을 써보려는 노력. 참 눈물겨웠다. 처음에 등장하는 일본 여승무원을 <설국>과 관련시켜 이야기할때부터 이 사람은 너무나 작위적으로 글을 쓰는구나 하는 느낌이 들었다.

결과적으로 그의 글은 굉장히 주관적인 입장에서 모두 이루어지고 있다. 그와 함께 여행을 한 '유'에게 자신이 원하지 않는 것들은 그냥 떠넘기는 행동을 보이기도 하는 반면, 쿠바 사람들을 그곳에 사는 사람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동정의 대상으로 생각하고 그들에게 몇불씩 나눠주는 모습은 그의 자기중심적인 사고와 우월감으로 가득 차 있을 뿐이다.

그가 3주동안 쿠바에 있으면서 방문한곳은 하바나를 제외하고는 트리나다드가 전부이다. 그것도 단 하루. 그는 하바나에 있으면서 체게바라나 헤밍웨이 그리고 쿠바인들의 삶을 묘사하려고 하지만 어디까지나 주관적인 관점에서 이야기를 풀어나가며 이도저도 아니게 만들어 버린다.

중간중간 삽입된 사진들과 그의 그림들은 매력적이지만, 그는 여행과 관련된 글을 쓰기에는 너무 미숙해 보인다. 화가라는 타이틀로 쓰여진 여행기지만 그의 여행기에서는 화가적인 면모도, 그렇다고 여행가적인 면모도 보이지 않는다.

그저 쿠바에 대한 주관적인 느낌만이 주욱 나열되어있을 뿐이다. 난 이 책에서 쿠바에 관해 얻은것이 없다. 정말 하나도 없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국 누비記
정경민 지음 / 필맥 / 200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필자가 미국에서 1년간 머무르면서 가족들과 함께 미국을 여행하고 쓴 여행기이다. 동부,서부, 중부까지 미국 대부분을 여행한 필자는 이것을 기행문으로 남겼다.

일반적인 여행기들이 방문했던 장소에 대한 묘사와, 자신들의 일정들에 대해서 자세하게 기술하고 있는 것에 반해 이 책은 미국의 역사와 그 지역의 특징들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물론 두껍지 않은 책에서 미국에 대한 전반적인 것을 다루다보니 깊이있게 들어가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고, 어느정도 이야기하다보면 다른 지역으로 넘어가기 일수이기 때문에 큰 흡입력을 발휘하지는 못한다.

그들의 여행루트는 책에 제공되어진 지도로 쉽게 파악해 볼 수 있고, 그 도시들을 따라가면서 기행문을 읽는 재미는 쏠쏠하다. 하지만, 미국 역사에 대해서 어느정도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필자가 풀어가는 미국에 관한 이야기가 자칫 지루해 질 수 있는 것이 단점이랄까. 그러나 미국에 대해 흥미가 있고 어느정도 가벼운 지식을 쌓고 싶다면 꽤 적당한 책이 아닐까 싶다.

다만 책 전체적으로 특별한 주제의식이 없다는 것. 그저 정보들을 나열한다는 느낌이 지배적이라는 것. 이것만 제외한다면 심심풀이로 읽기에는 좋은 책이다. 물론 미국에 관심이 있다면 적어도 한번쯤은 읽어볼만한 책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he Travels 쉬 트래블스 1 - 라틴 아메리칸 다이어리 1
박정석 지음 / 효형출판 / 2001년 6월
평점 :
절판


언젠가는 라틴 아메리카를 여행하겠다는 다짐하에 학교 도서관에서 라틴아메리카에 대한 책들을 뒤져본적이 있었다. 대부분 라틴아메리카의 문화나 역사등의 책들이 관심사였지만, 그러한 책들만 읽다보니 조금 지루해 져서 라틴 아메리카의 여행기가 있는 책을 찾아봤다.

그래서 내 눈에 대여섯권에 책이 눈에 띄었는데, 가볍게 훑어본결과 가장 눈에 들어오는 것은 바로 박정석씨의 '쉬 트레블즈'였다. 그녀는 대학원 박사과정 졸업을 1년 남기고 훌쩍 6개월간의 여행을 떠난다.

책의 시작부터 그녀의 이야기는 다른 여행기와는 달랐다. 자신의 일정을 나열하고, 무엇을 했는지.. 그리고 루트는 어댔는지에 대해서 나열하는 대부분의 여행기와는 달리, 그녀의 책은 순수하게 그녀의 '여행'에 촛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 지역에 대한 정보보다는 그녀의 느낌이 우선했고, 특별한 루트보다는 그녀의 맘이 닿는대로 움직인 내용이 대부분이다.

그러한 과정에서 겪은 일들을 그녀만의 문체로 글을 이끌어가고 있다. 다소 자만스러운 문체랄까. 하지만, 그것이 나쁘게만 보이지 않는다는게 그녀의 책의 장점이 아닐까 싶다.

중미에서 브라질까지. 사실 어떻게 보면 정말 쌩뚱맞다는 이야기가 나올만한 루트이기는 하지만(일반인들에게), 책속에는 그런느낌을 받지 못할정도로 재미있는 에피소드가 가득하다.

여행기...인것 같지만, 여행기같지 않은 책. 그래서 맘에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용을 찾아서
박정석 지음 / 민음사 / 200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점에서 여행코너를 잠시 살펴보니 신간 여행서적들이 많이 나와있었다. 대부분 수박 겉핥기에 지나지 않는 여행기가 있는 책들이었지만, 눈에 들어오는 책이 아예 없는건 아니었다. 그중에서 가장 눈에 띄었던것은 바로 박정석씨의 '용을 찾아서'. 민음사의 올해의 논픽션상 <여행과 세계>부문 수상작이라는 수식어를 달고 나온 이 책은, 박정석이라는 작가의 이름만으로도 구입하고 싶다는 매력을 느끼게 만들었다.

챙긔 내용은 그녀가 용(코모도 드래곤)을 만나기 위해 떠난 인도네시아에서의 체류기다. 그녀가 이야기하는 장소는 수마트라 북부와 발리섬으로 제한되어있지만, 그녀의 이야기 보따리는 생각만큼 작지 않다. 제대로 여행을 끝마치지는 못했었지만, 이전에 인도네시아 여행을 계획했던적이 있었던 터라 그녀가 풀어놓는 이야기는 더욱 흥미로웠다. 물론 그녀의 이야기는 수마트라 북부와 발리섬에 제한되지만, 그녀만의 특별한 장소도 포함되어 있다.

어찌보면 다소 냉소적이고 조금 까탈스러워 보이는 듯한 그녀의 성격은 오히려 글을 빛내주는것 같다. 여타 그녀의 글에서 보여주던 일관된 그녀의 생각은 크게 범주를 벗어나는 것 같지 않다. 어쨌든, 대충 훑어보고 바로 구입을 결정한 책이었지만, 일단 아깝다는 생각은 전혀 들지 않는다. 사실 제목과는 조금 동떨어진 내용, 다시말해서 제목은 상징적인 내용이기는 하지만 그리 문제되지는 않는다. 어쨌든 그녀는 '시도'는 했었으니까.

어쨌든 단숨에 읽어내려가 버린 '용을 찾아서'는 다음에도 몇번쯤 다시 들춰볼것 같다. 그녀의 문체가 마음에 들기도 하기 때문에고, 이전에 내가 못 마쳤던 것에 대한 향수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어쨌든, 이 책은 내 책장의 '좋은책' 칸에 꽃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