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 사이언스 - 불확실한 투자의 세계에서 확실한 승리를 얻는 공식
윌리엄 파운드스톤 지음, 김현구 옮김 / 동녘사이언스 / 200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꾸러미 속에서 눈에 띄게 놓여있어,
화장실 갈 때마다 손에 들었던 것이,
어느새 다 읽었다.
 
부제가 재밌다.
'불확실한 투자의 세계에서 확실한 승리를 얻는 공식'.
 
내용도 흥미진진하다.
'천재들은 카지노, 경마 같은 도박이나 주식 투자에서 돈을 벌 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돈을 번 천재들도 있고,
돈을 잃은 천재들도 있다.
 
돈을 번 천재 두 명.
켈리와 섀넌.
 
파산하지 않으면서 가장 빠른 시간 안에 가장 많은 돈을 버는 방법.
여기에서 아인슈타인의 공식만큼 유명한 켈리공식이 발명된다.
 
Gmax(부의 성장률) = R(정보 전달률)
 
부의 성장률을 최대로 할 수 있는 것은,
신뢰할 수 있는 정보에 달려있다.
정보가 많으면 많을 수록 부의 성장률은 더욱 가파르다.
 
그렇다면 도박을 할 때 판돈을 걸 때는 어떠한 방법이 좋을까.
 
우위/배당률=판돈
 
이 부분 확실히 이해는 안되지만,
쉽게 설명하자면,
믿는만큼 거는 것이다.
 
여기서 더욱 중요한 것은,
우위가 없는-우위가 0이거나 마이너스인-
게임에는 판돈을 걸지 말라는 것이다.
 
정보가 없는,
우위가 없는 게임은,
하지 않는 것이 상책이다.
 
돈을 잃은 천재들은,
비록 우위가 있는 게임이었지만,
질 수 있는 가능성을 염두에 두지 않고,
모든 판돈을 건다.
그 결과 그들은 파산한다.
 
신은 주사위 놀이를 하지 않는다는 아인슈타인만큼이나,
시장도 주사위 놀이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해나가는 두 천재의 얘기.
 
흥미진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핑퐁
박민규 지음 / 창비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민규 신간이 나왔다길래
많이도 애태운 끝에,
드디어 읽었다.
 
252페이지.
첫장의 낄낄거리는 능청스러움은,
끝장에선 비장함과 허무함으로 변한다.
 
한자와 철학용어가 뺵빽한 철학서의
진지한 고민만이 가치있다고 할 수 있을까.
순간순간 스쳐가는 일상에 담긴
잡념 같은 고민들은 가치가 없을까.
 
60억의 사람들이 있다.
어느 곳에선 힘없는 사람들이 죽어가고,
어느 곳에선 힘없는 사람들이 폭격을 당하고,
이 곳에선 나 같은 사람들이 살아간다.
이유도 모르고.
 
작가는 우리가 생존하는 것이 아니라 잔존하고 있다고 한다.
살아가는 목적을 모르기 때문이란다.
말그대로 그냥 살아가는 것이다.
이유없이.
 
'못'과 '모아이'는 우리 곁에 늘 있는
존재감 없는 왕따들이다.
이들이 인류의 미래를 걸고 탁구를 친다.
 
핑퐁.핑퐁.핑퐁.핑퐁.핑퐁.핑퐁.핑퐁.
핑퐁.핑퐁.핑퐁.핑퐁.핑퐁.핑퐁.핑퐁.
핑퐁.핑퐁.핑퐁.핑퐁.핑퐁.핑퐁.핑퐁.
핑퐁.핑퐁.핑퐁.핑퐁.핑퐁.핑퐁.핑퐁.
핑퐁.핑퐁.핑퐁.핑퐁.핑퐁.핑퐁.핑퐁.
핑퐁.핑퐁.핑퐁.핑퐁.핑퐁.핑퐁.핑퐁.
핑퐁.핑퐁.핑퐁.핑퐁.핑퐁.핑퐁.핑퐁.
 
결국은 그들이 이기고,
인류의 미래에 대한 결정을 내려야 한다.
인류를 유지할 것인가, 언인스톨할 것인가.
 
그런 순간이 온다면, 나는 어떤 결정을 내릴까.
내가 하고 있는 잡스런 생각, 잡스런 행동이
지구를 구할지도 모른다.
 
이 책.
가벼운 진지함이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비야 청산 가자 2
김진명 지음 / 북스캔(대교북스캔) / 2007년 1월
평점 :
절판


북핵 개발.
제2의 가쓰라-태프트 협약.
미국과 중국의 한반도 갈라먹기.
2007년 대선.
 
속도감 있는 문체는 나무랄데 없다.
4시간만에 두권을 다 읽었으니.
엄청난 기대를 한건 아니니,
재밌있게 본걸로 만족하고 싶은데
아쉬운건 아쉬운거다.
 
이야기가 톱니바퀴처럼 굴러가긴 하는데
이건 너무 술렁술렁이다.
운이 좋은 것도 한번두번이지,
어떻게 실패한번 안하고 결론이 나와버리냐는 거다.
 
무슨 모의고사 문제집 푸는 것도 아니고.
정답이 별어려움없이 탁탁 나온다.
내 나름대로,
'대한민국의 댄 브라운'이라 인정하고 있는 작가 김진명.
 
다음 편은 좀 더 치밀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비야 청산 가자 1
김진명 지음 / 북스캔(대교북스캔) / 2007년 1월
평점 :
절판


북핵 개발.
제2의 가쓰라-태프트 협약.
미국과 중국의 한반도 갈라먹기.
2007년 대선.
 
속도감 있는 문체는 나무랄데 없다.
4시간만에 두권을 다 읽었으니.
엄청난 기대를 한건 아니니,
재밌있게 본걸로 만족하고 싶은데
아쉬운건 아쉬운거다.
 
이야기가 톱니바퀴처럼 굴러가긴 하는데
이건 너무 술렁술렁이다.
운이 좋은 것도 한번두번이지,
어떻게 실패한번 안하고 결론이 나와버리냐는 거다.
 
무슨 모의고사 문제집 푸는 것도 아니고.
정답이 별어려움없이 탁탁 나온다.
내 나름대로,
'대한민국의 댄 브라운'이라 인정하고 있는 작가 김진명.
 
다음 편은 좀 더 치밀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한민국 개조론
유시민 지음 / 돌베개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회사동료에게 선물받은 책.
 
이제야 다 읽었다.
 
유시민 전장관의 말마따다 25일만에 집필한,
장관 시절의 정책집 성격이 강한 책이다.
 
유시민의
예리함과 날카로움은 여전한데,
읽고나니 허한게 왠지 모르겠다.
 
다 맞는 말을 하고 있는데,
이정도면 정말 열심히 일했다는 것도 알겠고,
그의 진심을 알 것 같은데
이상하게 허하다.
 
삐딱한 시선으로 세계를 거꾸로 읽고,
조국에 대한 슬픔과 노여움을 안고 살아가던,
바리케이드에 화염병을 던지는 심정으로 돌진하던
그의 모습이 그립다.
 
현실주의자들 뿐인 세상에서
이상주의자들이 설 자리가 없다지만,
이상주의자가 한 명씩 사라져 갈 때마다
슬픈 심정은 감출 수 없다.
 
그래도 난 이번 대선에서 유시민을 지지할테다.
몰상식보단 상식이 언제나 정답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