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살 수 없는 미래 - 황폐한 풍요의 시대, 돈으로 살 수 없는 삶의 방식을 모색하다
마이클 해리스 지음, 김하늘 옮김 / 어크로스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은 저자가 밴쿠버의 쓰레기 매립지를 둘러보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매립지에는 우리가 사용했던 물건, 망가진 물품, 잃어버려서 아쉬움을 남긴 소지품들, 미련 없이 떠나보낸 물건이 산처럼 쌓여 있다. 넓은 공간에 이런 쓰레기 산이 여러 개 드러나 있다. 쓰레기 매립지는 우리가 '소중하게' 생각하는 소비문화를 유지하는 데 어떤 대가를 치러야 하는지 선명하게 보여준다.


물건을 잃으면서 우리 자신을 잃는 기분을 느낀다면 그 반대도 성립한다. 새로운 물건을 사면 새로이 회복되었다는 기분이 든다. 구매는 자기를 완성해주고 자기 가치를 확인해주는 행위처럼 느껴진다. 우리가 그리는 자화상에서 각각의 구매는 한 번의 붓질과 같다. _72쪽


<우리가 살 수 없는 미래>는 사회 문제에 대한 통찰력 있는 시각으로 잘 알려진 마이클 해리스의 에세이다. 저자는 인류의 소비 패턴이 지속 가능하지 않으며, 이미 지구의 수용 능력을 초과했다고 주장한다. 그는 도파민 과다의 시대에, 우리는 실제로 물건을 갖고 싶어하는 욕망이 너무나 강력하다고 말한다.


저자는 단순히 주장만을 내세우지 않는다. 자신의 개인적인 에피소드부터 시작해 그리스 철학, 현대인의 소비 패턴, 도파민에 대한 신경과학자들의 연구결과를 켜켜이 쌓음으로써 주장의 층위가 한껏 깊어진다.


이런 소비주의적 사고 방식에 대한 대안은 어떻게 될까? 이 부분에서 저자는 개인이 직접 제품을 생산하고, 자연의 숭고함을 즐기고, 타인을 배려함으로써 소비주의의 족쇄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는 완벽한 해법이 아닐지라도, 각 개인이 세상을 살아가는 즐거움을 늘림으로써 소비로 인한 행복에서 벗어나자는 제안이다.


수제는 인간이 수천 년간 살아남은 방법이다. 숭고함은 소비문화가 부상하기 오래전부터 우리 안에 존재한다는 느낌을 빚어냈다. 돌봄은 아마 인간의 가장 중요한 생존전략일 것이다. 없어도 된다고 여겨지는 이런 이야기들은 사실 인간 삶의 토대를 이루는 요소다. _242쪽


환경 문제를 우려하고, 자본주의 사회에서 소비에 대한 불안을 느끼는 이들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 행복이라는 것이 소유물이 아닌, 우리가 가치 있게 여기는 경험과 인간관계를 통해 찾을 수 있다는 저자의 주장은, 심도 있게 생각해봐야 할 중요한 이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