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이 멈추는 날 - 전 세계 대규모 자산 동결이 시작된다
제임스 리카즈 지음, 서정아 옮김 / 더난출판사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통 사람으로서는 생각할 수 없는 일이다. 


은행이 멈추는 날은. 일생 모든 것을 은행에 맡겨 살았던 때가 있었다. 이자만으로도 먹고 살 수 있었던 때가 있었다. 그런 삶은 진즉 옛말이 되었다. 좋은 시절은 갔다. 불안한 시대를 우리는 산다. 균형은 깨졌다. 이 불균형과 위험을 즐기며 사는 사람들이 있다. 투자자들의 삶은 어떤가? 은행을 비롯한 금융 관련 일을 하는 사람들의 삶은 어떤가. 


위험을 조장하고 안전을 위해 자산을 맡기라고 말을 한다. 한 나라의 위기는 다른 나라에 즉각적인 위협요소를 안긴다. 글로벌 금융시대는 글로벌 금융위기의 또 다른 말이다. 미국과 중국, 유럽의 자본 이동은 국가 간 권력을 재배치한다.  


<은행이 멈추는 날>은 보통 사람들의 삶에 영향을 미쳤던 1998년과 2008년, 그리고 앞으로 다가올 2018년. 우리 앞에 놓은 2018년은 어떤 모습으로 다가올까. 앞의 다른 연도가 지대한 영향을 미쳤듯이 2018년을 우리가 어떻게 마주해야 하는지 지금 우리 앞에 놓인 전조를 챙겨보자고 말을 한다. 


"정책 입안자들이 이 다섯 가지 교훈을 염두에 두었더라면 어떤 정책을 선택해야 할지 명확히 할 수 있었을 것이다. 파생금융상품은 투명하고 증거금 예치를 원칙으로 하는 거래소에서만 거래되어야 한다. 레버리지는 제한되어야 하며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재무제표에 기록되어야 한다. '신의 성실한 해지 거래'를 제외하고는 은행들의 파생금융상품 거래를 금지해야 한다. 위험 가치처럼 시대착오적이고 통계적 결함을 내포한 척도는 폐기되어야 마땅하다. 마지막으로 다가오는 창발적 위기에 대한 대비책으로서 자본 요건을 강화해야 한다. 그러나 창발적 위기에 대해서는 전혀 예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235쪽, <은행이 멈추는 날> 중


<은행이 멈추는 날>의 저자 제임스 리카즈는 35년간 베테랑 금융전문가로 활동하며 다양한 자문활동을 해 오고 있는 경제 예측가이다. 위험요소 발생과 방지를 위한 금융전문가들의 활약과 이 사이에서 자본이익을 취하고자 하는 투자자본의 움직임 사이에서 어떤 정책과 전략을 취해야 하는지 예측하고 안내한다. 


"그렇다면 현재 우리가 있는 곳은 어디일까? 세계는 복잡성 이론의 작동으로 금융위기가 역동적인 전쟁을 대체한 지점에 이르렀다. 1998년과 2008년 위기는 1870년부터 1912년 사이에 일어난 러시아-튀르크 전쟁,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발칸전쟁과 유사한 사건이다. 1998년과 2008년 위기는 앞으로 상상을 초월할 불행이 기다리고 있음을 경고한 사건이다. 이는 막연한 추측이 아니라 시스템 역학을 감안할 때 예측되는 결과다. 그런 결과를 반드시 피할 수 없다고는 할 수 없지만 피하지 못할 가능성이 더 크다. 벼랑 끝에서 벗어나려면 은행의 몸집을 줄이고, 파생금융상품과 레버리지를 축소하며, 금을 기준으로 한 건전한 화폐를 마련해야 한다. 그러나 이 처방 가운데 그 어느 것도 실현 가능성이 없다. 실현 가능성이 있는 것은 시스템 붕괴뿐이다."-318쪽, <은행이 멈추는 날> 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