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에 읽는 소심한 철학책 - 하루 끝에 펼친 철학의 위로
민이언 지음 / 쌤앤파커스 / 2016년 11월
평점 :
절판


철학자의 책은 어렵다. 그들의 생애는 대략 파악하겠으나 정작 그들을 알리는데 앞장선 이론들을 따져, 무엇인지 정확하게 이해하며 사는 게 어렵다. 이름도 어렵고 그들과 함께 철학의 역사를 잇는 흐름을 파악하는 것은 더 어렵다. 수학도 아닌데도 그렇다. 삶의 이야기이며 인간에 대한 이야기인데 무엇이 그토록 어렵게 만드는 것일까.  


사람의 이야기인데 무엇이 문제일까. 그것 기초 흐름을 제대로 바탕에 깔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책은 한 번 읽어서는 사실 제대로 들여다보기는 어렵다. 한 번, 두 번, 세 번 보는 것에 따라 책을 이해하는 게 다르다. 한 번 읽고서 이렇게 이 책이 뭐라고 단정하기는 그래서 어렵다. 다만 이 번 책을 통해 느끼게 된 것은 삶을 다르게 하는 것은 내 안에 대한 생각의 흐름을 주관적으로 가져야 한다는 점이다. 


"내게 그런 역량이 구비되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삶의 순간순간 한 번쯤은 곱씹어볼 만한 생각들에 대한 해석을 담고자 했다. 철학을 위한 철학이 아닌, 철학 영역 밖에서의 레시피로 활용될 수 있을 정도만을 추린 결과물이지만, 필요하다 싶은 곳에선 심도 있는 개념도 피하지 않았다."


이 책에 대한 저자 스스로 평가 내린 부분이다. 


저자는 인문학자로서 철학을 생활과 연결 짓고 더불어 영화와 우리 사는 세상을 이리저리 연결하며 잠 못 드는 밤이 아니라, 그러다 지쳐 물러나는 삶이 아니라, 삶의 좌표를 찾아가는 밤의 여정을 제시했다. 생각하는 힘을 얻기 위해 철학을 접했고 그 얻은 힘으로 다시 밤을 지새우는 삶의 피로를 걷어내고 다시금 우리 인생의 빛나는 순간이 바로 지금임을 새삼 느끼게 한다. 


저자는 5일차 차 밤을 소개한다. 


'1일 차'에는 먼저 과거에 묶여 현재를 제대로 살지 못하는 밤을 위한 철학자들을 먼저 살펴보고, 2일차에는 불안한 인간 존재라는 것이 무엇인지 알게 해준다. 마음이 공허함 밤의 해결책을 3일차 밤에서 소개한다. 나만 불행한 것과 같은 절망감과 외로움에 지친 밤을 4일차에서, 마지막으로 5일차 밤에서는 이런저런 얽매여 인생을 잡혀 살지 말고 올바르게 판단하며 살자고 조언한다. 


24개의 주제로 나뉘어 철학자들의 당시 삶과 주장한 이론 등을 이야기함과 동시에 최근의 이슈와 문화적 현상을 서로 연결하는 작가의 철학에 대한 깊이는 인상적이다. 


저자는 이렇게 5일차 24개의 주제 속에서 인간과 신,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과의 관계에서 발행하는 문제들을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보고 거기에서 일어나는 문제와 답을 발견한 철학자들의 이론들을 가져다 인간 삶의 밤을 밝혀 줄 등불 하나를 건넨다.


우리는 미래를 걱정하기보다는 현재의 삶을 즐겨야 하지만 무엇인가에 홀려 그런 듯 늘 불안한 미래를 먼저 걱정하다 보니 지금 삶을 누리지 못한다.


"우주의 질서도 혼돈에서 비롯된 역사다.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지금의 그대가 버려야 할 것은 그놈의 정체성인지도 모른다. 지금 필요한 것은 차라리 정체성의 혼란이 아닐까? 정해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 '난 누군가? 또 여긴 어딘가?'라는 불안한 질문을 던지는 게 당연한 과정이다. 도리어 자신의 순간순간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는 사람에게, 새로운 세계는 열리지 않으며 미래는 도래하지 않는다."-72쪽 중.


저자의 주체적인 인생으로 삶을 살라는 조언, 누구나 겪는 밤이지만 그 밤을 어떻게 바라보고 생각하는가에 따라서 삶의 질은 달라질 수 있다. 돈 버는 것에 온통 마음을 뺏긴 인간보다는 나를 돌아보고 사는 생각하는 인간, 철학 하는 인간의 삶의 모습을 짚어본다. 


저자는 하이데거, 헤겔을 비롯 들뢰즈, 지젝과 라캉 등 현대와 고대 철학자들의 인생철학관, 동서양의 종교와 문화, 저자의 경험, 우리 시대를 흐르는 문화, 영화를 넘나들며 천천히 때로는 질주하는 듯한 속도로 넘어가는 글들은 오늘 삶의 의미를 찾도록 훅훅 끌어들인다. 


"삶에 대한 회의가 밀려올 때, 우리는 내가 누구이고 또 여기가 어디인지에 대한 해답을 '타인'과 '저기'에서 찾으려 한다. 나의 존재방식으로는 도저히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 문제이기에, '나'와 '여기'의 '바깥'을 둘러보게 된다. 쉽게 말해 남들이 어떻게 살아가는지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다는 이야기다. 결코 타인의 삶 속에서 내가 필요로 하는 해답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나와 다른 규칙으로 살아가는 타인의 '차이'를 관찰함으로써 생각의 질적 도야를 이루어내기도 한다. 나의 존재방식 안에서 한 번도 재고해보지 않았던 것들이, 비로소 가능성으로 발견되기 때문이다."-본문 122쪽 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