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경계에는 꽃이 핀다 창비시선 156
함민복 지음 / 창비 / 199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한 번 읽어보고 리뷰를 쓴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 특히 시인의 시집은 더 그렇다. 몇번을 읽어도 이해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그때의 심정, 기분,, 그리고 그가 서 있던 곳에 있지 않고서는 말이다. 같이 있어도 어려운 일이다. 다시 읽어보고 읽어본다.  

 

그때서야 비로소 흩어졌던 단어들이 조합이 되면서 감정이 만들어진다. 왠지 모를 그리움이 커져만 간다. 어쩌면 그냥 슬퍼지는 듯도 하고, 그러나 달리 보면 삶에 대한 간절한 애정이 떠올리기도 한다. 특히 우리 삶을 있게 하신 어머니와 아버지, 그리고 주변의 사람들, 내가 딛고 사는 삶의 터전과 그 주변의 사물들에 대해서 그냥 지나치지 않고 바라보고 있는 시다.


시인은 자유인이다.  

 

쓰기 쉽지 않은 언어를 시라는 형식을 통해 구애받지 않고 표현을 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다른 글을 쓰는 사람들이 구속을 받는 다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우리 삶의 허울들을 까버리고, 순수함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열망도 느껴진다.  

 

'달의 눈물'은 금호동 산동네에서의 삶을 이야기한다. 흐르는 하수도의 물을 듣는 것조차도 즐겁고, 그 소리에 눈물이 젖는다는 부분이 마음을 뭉클하게 한다. 처녀 등에 업고 백리를 걷고 싶다는 농촌 총각의 마음, 당신 생각을 켜놓은 채 잠이 들었다는 가을은 또 어떤가. 문장 하나로 가을을 만들 수 있는 시인이 부럽다.


제 3부에 실린 시 가운데는 우리 사회의 현실을 꼬집는 그러한 내용의 시들이 앞부분에 실려있다. 문명의 발달 속에서 뭍혀지고 사라져간 것들을 다시 끄집어 내올 수는 없지만, 지금의 것들이 우리 삶에 주는 것은 진정 무엇인지를 돌아보게 한다.  

 

부족하지만 그러한 삶을 솔직하고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자 하는 시인의 마음이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