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의 위안부 - 식민지지배와 기억의 투쟁, 제2판 34곳 삭제판
박유하 지음 / 뿌리와이파리 / 2015년 6월
평점 :
품절


우리가 아는 역사는 얼마나 정확한 것일까. 


시대나 그 시대가 지배하는 역사관에 따라서 역사를 보는 시각이 다르다. 해석다 다르다. 무엇이 옳고 무엇이 그른것일까. 


그 중에 위안부에 대한 부분 역시 다르지 않다. 누가 보느냐에 따라서 다르게 볼 수 있다. 


있는 사실은 그대로 사실일까 하는 생각이 든다. 


오늘날 우리 사회가 풀고 가지 않으면 안될 일들이 산적해 있다. 문제는 곳곳에서 일어나지만 큰 실마리가 풀리지 않으면 풀리지 않는다. 일본의 진정성 있는 사과가 아닐까. 그것이 없이는 그 이외의 다른 그 무엇이 의미가 있는 것일까. 


언론을 통해서 이 책의 저자가 주요 이슈로 올라오고, 책의 내용을 갖고 명예훼손으로 고소도 했다고 들었다. 


좀 더 깊이 있고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이야기들, 토론들이 오고가며 우리가 좀 더 건강한 사회로 나가는 길이 되었으면 좋겠다. 일본도 일본나름대로의 노력을 기울인점을 평가하고 그것을 있는대로 봐야 한다고 말을 한다. 


돌이켜보면 처음 단추가 제대로 채워지지 않으니 그 다음 일도 어긋나질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덮어두거나 무시하거나 외면했던 일들이었다. 


그러나 2015년 말,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 한일 양국 간에 이미 협약을 맺었다는 이야기를 갑자기 들었다. 여러 확인되지 않은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는 상황해서 그러한 이야기는 잘못된 것이니 그러한 말을 하거나 유포하면 엄중대처하겠다고 한다. 그러면 그러한 말이 나오지 않도록 좀 더 세세한 정보를 줄 수는 없는 걸까. 


"예외도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포주들은 위안부들의 수입의 대부분을 갈취했고, 일하기 싫거나 아플 때도 성노동을 강요했다. 그녀들의 인권-인간으로서의 '자유'와 '권리'를 침해한 것은 군인들이기도 했지만 가혹한 노동을 강요한 직접적이 주체는 포주였다. 압도적인 숫자의 군인들이 위안부들에게 직접적인 고통을 강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런 구조를 만든 국가에 가담해 가난한 소녀들이 더 많은 숫자의 군인을 상대하도록 종용한 것은 군인뿐 아니라 업자였다. 그러나 정대협이 정착시킨 '성노예'라는 단어가 비난하는 주체는 어디까지나 일본군일 뿐이다."-117쪽


이 글에 동의하는가?


이 책은 적지 않은 논쟁거리를 제공한다. 


국가의 개입여부와 위안부를 모집한 모집책과 강제로 끌려가지 않았던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 등등 자발적인 사람들과 강제로 끌려간 사람들에 대한 저자의 이야기들이 그렇다. 이 책에는 우리가 알지 못하고 외면했던 이야기들이 들어 있다. 그것이 저자의 주장일 수 있겠다. 그러나, 저자의 여러 사례와 보도자료를 통한 이같은 책을 통해 위안부 관련한 관계국의 다양한 이야기들을 접하고 좀 더 대처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이 책에서 위안부 관련하여 잘못 짚은 부분이나 오류부분이 있다면 함께 논의하고 지적하고 수정해나갈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또한 기대한다. 우리는 늘 문제가 터지면 그 때 관심을 갖다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언제 있었는지 기억을 놓는다. 


잊지 말아야 할 우리의 역사, 좀 더 적극적으로 파고 들어야 우리의 것을 지키고 살아갈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