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미래를 바꾸는 학교혁명 학교혁명 1
켄 로빈슨.루 애로니카 지음, 정미나 옮김 / 21세기북스 / 201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학교혁명(Creative Schools)의 저자, 켄 로빈슨(Ken Robinson)


2006년 그는 TED에서 역사상 최고의 인기를 끄는 강연을 한다. 강의의 제목은 '학교가 창의력을 죽인다(Schools kill creativity)'이다. 그가 강연을 한 후 10여 년이 다 되어간다. 


어떤 변화가 이루어졌을까?


그의 강연은 왜 그토록 인기를 끈 것일까. 그의 강연과 그의 책, 학교혁명을 통해서 그의 생각, 학교가 왜 창의력을 죽이고 있는가 하는 공격적인 제목의 강연 내용을 다시 짚어본다. 


얼마전 중학교 교실을 방문할 기회가 있었다. 내가 생각했던 현실과는 너무나 다른 현실에 다소 당황스러웠다. 책상은 그런대로 괜찮았지만 의자는 전혀 아이들의 체형에 맞지 않았다. 성한 의자가 몇 개 없었다. 


학교는 그런 의자들을 고칠 의지가 없어 보인다. 아이들은 그 공간에서 게임을 하고, 몸싸움을 하면서 10여분의 휴식을 취한다. 종이 울려도 급하게 자리로 돌아가지 않는다. 선생님도 재촉하지 않는다. 배움에 대한 의지도, 가르침에 대한 적극성도 없는 공간처럼 느껴졌다. 


우리 교육 현장의 문제가 무엇이고 어떻게 가르쳐야 할 것인가, 이 아이들로 하여금 이 귀중한 시간에 어떠한 생각과 행동으로 주어진 시간을 자유롭고 창의롭게 쓸 수 있도록 할 것인가 하는 생각에 마음을 쓸고 갔다. 전국의 수많은 학교는 지금 어떤 환경 속에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을까. 삶의 과정 왕성하게 발달하는 뇌는 이 과정에서 제대로 성장하고 있는걸까. 선생님은, 학교는 아이들의 생각, 창의력을 키우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는 걸까. 


많은 시도가 일어나고 있지만 여전히 갈 길이 너무 먼 것이 현실이다. 학업을 포기하는 학생이 반이 넘는 교실은 정상적인 교실일까. 


이러한 문제들을 깰 수 있는 답을 갖고 사람들 앞에 나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를 이야기 해 온 이가 바로 학교혁명의 저자, 켄 로빈슨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교육현장에서 일어나는 많은 사례들을 통해서 누가 가르치느냐, 어떤 태도를 갖는가에 따라서 학교는 달라질 수 있다. 교실이 달라지고, 학생의 태도가 달라진다. 어떻게 그런 일이 가능할까. 전혀 고쳐질 수 없을 것 같은 상황이 180도 달라지는 것은 무엇일까. 그 이유를 우리에게 설명한다. 


아이들이 갖는 관심은 제각각이다. 그들이 능력도 다양하다. 그러나 그러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일관된 통제로 아이들의 생각과 행동을 규격화한다. 공장에서 과자를 찍어내듯, 아이들을 시험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표준화한다. 


우리나라 현실을 돌아보면 어떤가. 사교육비가 날로 늘어나고 교육시장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지만 아이들은 그 속에서 행복한가? 아이들의 지친 삶에 활기를 띄게 해 줄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아이들이 관심갖고 있는 것들을 찾아 할 수 있도록 그 시간을 주고 기다려주는 것, 다시 기본으로 돌아가는 것이 시급하다. 사람교육을 공장에서 생산하는 제품 찍어내듯이 할 수 없는 것이다. 그렇게 해서는 안 되는 일이다. 저자는 아이들의 재능과 관심사를 길러줘야 한다고 말한다. 


이제 내년 부터는 전면적인 자유학기제가 실시된다. 새로운 방향의 교육환경을 제시하고 아이들의 주어진 기간동안 자신의 꿈과 끼를 찾아갈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한다. 나름대로의 해결방안을 다른 나라의 교육사례를 도입하지만 국내 현실에 맞게 수정, 보완되어야 할 부분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다양한 기회가 주어질 수 있도록 보다 긴밀하게 관계기관들이 협력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교육의 근원적 목적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학교에 대한 사고방식과 학교 운영방식을 과감히 변화시켜야 한다. 구식의 산업적 모델에서 벗어나 완전히 다른 원칙과 실천에 따르는 모델로 변화시켜야 한다."-62쪽


저자는 교육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서 아이들의 관심사에 주목하고 그들의 능력을 키우는데 주목할 것을 주문한다. 교육현장에서 음악, 놀이 등 예술교육을 비롯, 창의력 향상을 위한 과정 개설로 다양한 능력개발을 이끌어낼 것을 강조한다. 다양한 지능과 잠재력을 갖고 있는 아이들을 획일적으로 교육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어려서 그 많던 호기심에 왜 성장하면서 사라지는 것일까. 그것은 답만 외우면 되는 그런 제도적 교육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닐까. 호기심이 유지되고 질문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자. 


"인간은 수동적인 존재가 아닙니다. 함께 어울릴 때는 서로 상호작용을 해야 합니다. 인간은 능동적으로 문제를 풀거나 뭔가를 만들어야 직성이 풀리는 존재입니다."-195쪽


책의 후반부에서는 학교, 교사, 학생 이외의 부모 역할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는데 부모가 학교와 어떤 관계를 갖고 나가야 할 지 살펴본다. 학교에 아이의 교육을 맡기는 것이 아니라 협력하는 관계로 자리를 바꿀 때 일어날 수 있는 새로운 변화를 제시한다.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아이들의 창의력이 달라질 수 있다. 성장할 수 있다. 무엇을 해야 하는지 생각이 많아지는 책이다. 왜냐하면 교육은 세대를 이어주는 가장 큰 일이기 때문이다. 학교가 달라질 때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을 학교혁명에서 만나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