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능과 창의성이라는 유령을 찾아서
강창래 지음 / 알마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기존의 창의성의 개념은 이론적인 서술이 대부분이었지만 이 글은 대화의 형식을 빌어서 창의성의 개념과 그것이 발현되는 시점이 어디에 있는지를 이야기한다. 누구나 갖고 싶고 바라는 것이 있다면 남이 생각하지 못하는 것을 생각하고 그것을 실현하여 물질적인 이익을 얻고 명예를 얻는 것이 아닐까. 나의 속물적인 생각일지 모르지만 나에게는 그런 부분이다. 


이전의 것들을 무시하고서는 새로운 것을 얻을 수 없다.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상황 속에서 새로운 것들을 우리는 뽑아낼 수 있다. 그 안에서 그냥 그대로 안주하는 일도 있지만 그 상황을 벗어나서 창의력을 뽐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자신의 재능도 중요하지만 그 후 ‘거인의 어깨위’에 올라타는 일이 중요함을 이야기한다. 행운의 기회가 사람들마다 다르지만 어떤 이에게는 그 기회가 삶의 진로를 바꾸고 인생 자체의 변화를 끌어내기도 한다. 누구를 만날 것인가, 하는 점이 중요하다. 트롬본 연주자의 이야기는 인상적이다. 


“사실 보수적이라는 것은 우리의 삶에 매우 중요합니다. 

자신의 삶을 잘 살펴보세요. 

대부분은 매우 보수적인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이를테면 의식주는 대단히 보수적이고 전통적인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죠. 

라이프스타일도, 살의 스토리 라인도 상당히 비슷합니다. 

그 안정감 위에서 새로움을 추구하는 거죠.“-110쪽


이러한 이야기를 통해서 새로운 것들은 이런 환경 속에서 나올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보수적인 상황, 진부함과 전통 속에서 창의력이 발휘될 수 있다는 것. 그래서 책을 읽고, 기존 화가들의 그림을 모방하는 것이다. 많이 읽고, 쓰고, 보는 일은 그래서 중요하다. 


‘획일적이고 경직된 사회에서 모험을 강행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해낼 수 있다’는 말도 잘 들어온다. 


나는 그럼, 오늘 어떤 사람, 어떤 환경을 만나는가.


사회의 제도나 학교 교육은 일관성과 상식을 가르친다. 통일된 규칙을 통해서 통제를 쉽게 한다. 거기에서 어떤 창의력이 나올 수 있을까. 창의적인 소통이 아니라 획일화된 소통이 될 수 밖에 없다. 


이 책에서는 화가와 음악가들의 삶과 그들이 남긴 업적을 통해서 그들의 재능과 창의력이 언제 발휘되고 인정받았는가를 알아본다. 


낙서를 해보고, 무엇이든 써보고, 남의 글을 읽어보는 일들을 좀 더 적극적으로 해봐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