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당나귀 곁에서 창비시선 382
김사인 지음 / 창비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56년 충북 보은 생.


4부로 구성된 시집에서 1부에 수록된 시, '통영'


설거지를 마치고

어린 섬들을 안고 어둑하게 돌아앉습니다. 

어둠이 하나씩 젖을 물립니다.


통영에 가보고 싶다. 안동에 가보고 싶다는 생각이 3년 못되어서 이루어졌는데 이 바람, 소망도 이렇게 이루어지리라 본다. 시인의 언어로 만들어진, 짜인 통영의 그 골목이 보고 싶구나. 


삶과 죽음, 그 사이의 고통과 기쁨을 오고 가며 시인은 언어들을 뿌린다. 그리고 주어 꿰매나가는 동안 시 한편을 만들어낸다. 그렇게 그가 만든 세 번째 시집은 바로 '어린 당나귀 곁에서'


삶을 회피하면서도 삶을 향해 돌진하는 느낌을 안는다. 물러서는 듯하지만 그래도 한 마디 던진다. 서정적이면서도 강하고, 부드러운 듯 시골 향 나지만 거침도 없다. 에이 시브럴. 4부에 실린 시들은 다른 것과 달리 사회 지향적이다. '오월유사', '불길한저녁'이 그렇다. 세상의 모순, 불편함을 비꼬면서도 다시 일상으로 돌아오는 시민의 삶을 그린다. 


자식으로서 부모를 그리는 마음 또한 담았다. 죽음을 멀리 할 수 없는 일이다. 


"꼭 당신을 다시 만나자는 건 아니지만

달아나는 돌들과 자꾸만 뒤로 숨는 풀들과 

봉분 위로 부는 바람 하나

어쩌면 좋을지 모르겠어요."


-'고비사막 어머니' 중 일부 발췌(116쪽)


앞에 내놓은 두 권의 시집은 읽어보지 못했다. 다시 찾아 볼 일이다. 가을에는 시인이 만들어낸, 시인의 경험이 잘 배인 시를 읽는 것, 내 삶을 깊게 만드는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