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의 아침은 자유가 시작된다 - 구글 인사 책임자가 직접 공개하는 인재 등용의 비밀
라즐로 복 지음, 이경식 옮김, 유정식 감수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5년 5월
평점 :
절판


좋은 직장은 좋은 인재가 모이는 곳이다. 좋은 인재는 자신이 하고 싶은 것들을 마음 껏 할 수 있도록 풀어놓은 조직에 있다. 통제와 절제를 요구하는 조직은 더 이상 생존이 어렵다. 디지털 네트워크 시대는 융합형 인재를 원한다. 괴짜 같은 인재도 필요하지만 자신의 것들을 함께 나누고 더 좋은 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자가 더 필요하다. 


회사 운영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은 영업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결국 인사관리 부분이다. 인재들을 뽑고 배치하는 과정에서 일의 효과를 더욱 증진시켜야 한다. 회사의 운명이 달려 있는 일이다. 작은 조직이나 큰 조직이 다르지 않다. 


그렇다면 구글은 어떤가. 


오늘날의 구글이 있기까지 내부적으로 어떤 일이 있었던 걸까. 구글의 인재 운영전략을 세세하게 들여다볼 수 있다. 물론 가장 중요한 핵심까지 노출시켰을까 싶기도 하지만 외부로 드러나는 그들의 서비스 형태라든가 평가를 보면 그렇지도 않아 보인다. 그래도 저자가 최고 인적자원 책임자이며 인사 담당 수석 부사장인 라즐로 복(Laszlo Bock)이 아닌가. 


다시 내게 그때처럼 사람을 뽑을 수 있는 그런 기회가 주어진다면 나는 다르게 할 것이다. 그럴 기회가 오기는 힘들겠지만 다른 측면에서 인재 선발 전략을 가져보고 싶다. 구글처럼. 


좋은 회사가 되는 것이 먼저인가, 아니면 좋은 인재를 알아보는 것이 먼저일까.


14장에 걸쳐 있는 내용 중 관심 갖는 부분은 6장의 직원이 회사를 운영하게 하라는 부분이다. 작은 목차를 보니, 지위를 나타내는 상징물을 없애라, 정치하지 말고 자료를 사용하라, 직원이 스스로 결정하게 하라, 크게 기대하면 크게 얻는다는 제목으로 내용이 채워졌다. 스스로 일하도록 해야 한다. 강제와 강요가 아니라, 자신들이 일을 즐기도록 말이다.


"관리자가 깨닫지 못하는 사실은 통제 권한을 아주 조금 포기할 때마다 자신은 추가로 확보된 시간을 새로운 과업에 쏟을 수 있고 팀에게는 한 걸음 더 멀리 나아갈 수 있는 멋진 기회가 생긴다는 점이다. 당신이 부하직원이 좌절감을 느끼는 영역이 어디인지 찾아내고 직원들이 스스로 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허용하라."-234페이지


인재 운영전략에 대한 구글 인사담당자의 생각이 크게 들어 있다.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할지, 어떤 회사를 찾아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면 이 책을 들어봐라. 무겁지만 마음은 가벼워질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