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학교는 불행한가 - 전 거창고 교장 전성은, 대한민국 교육을 말하다 전 거창고 교장 전성은 교육 3부작 시리즈 1
전성은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교육을 바라보는 시각은 다양하다. 자신이 자라온 형태나 사고의 방식에 따라서도 그렇다. 지금까지 우리는 교육을 받아왔고 또 교육을 시키고 있다. 어떤 교육을 어떻게 시키고 있는가에 따라서 우리 미래는 달라진다. 우리가 경험하고 우리가 생각한 것들 가운데 잘 못된 것들은 없었는지 돌아보고 항시 바른 길을 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교육은 일방적인 교육이었다. 가르치는 자와 배우는 자로 나뉘어서 사회가 필요로 하는 그러한 지식, 취업과 학업을 위한 것으로만 이루어졌다. 이제 이 틀을 벗어나야 한다. 쉽지 않다. 이미 굳어질대로 굳어져 있기 때문이다. 


사회에 다양한 형태의 배움터가 만들어지고 있고, 그 성과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전과 다르게 그러한 교육환경에 대해서 허용을 하고 있고, 좋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관심을 보인다. 


"인류의 문화 자체가 섬기는 문화가 아니고 제국주의 문화, 곧 목숨을 건 경쟁의 문화인데 어찌 학교교육만이 홀로 섬김의 문화를 실천할 수 있겠는가. 우리는 그 흐름의 방향을 바꾸어야 한다. 적어도 종교와 더불어 교육은 문화의 방향을 바꾸어 평등, 자유, 공존의 세상을 만들어가는 일의 선두에 서야 한다."


여전히 우리는 왜 배우는가에 대한 질문 없이 정해진 학제에 따라서 학교를 들어가고 진학을 한다. 질문이 사라진 학교는 의미가 없다. 다른 학생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스스로 그 길을 차단하기도 한다. 그게 맞는 걸까. 그런 생각이 들도록 한 시스템이 더 문제는 아닐까. 


이 책은 지금까지 이루어진 교육의 형태가 어떠했으며, 진정한 교육의 의미는 무엇이고, 교육자가 학생들을 대하는 태도와 신념은 어떠해야하는가를 잘 일깨워준다. 어려운 시대를 지나오면서도 흔들지지 않는 교육이념과 원칙을 가질 수 있었던 것은 교육에 대한 생각이 바르게 박혀있었기 때문이다. 


"학교 교육은 아이들의 다양한 재능, 소질, 관심에 따라 다양한 교육을 해야 한다. 국가는 그렇게 해야 할 책무가 있다. 그것이 국가의 도리다. 그러자고 국가가 있는 것이다. 그것이 국가의 존재 이유다. 인간의 자신의 재능과 소질과 관심에 따라 한 번밖에 주어지지 않는 삶을 살 권리가 있다. 천부의 권리다."


우리 사회가 좀 더 건강해지기 위해서는 교육이 바로서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책을 만들고 현장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교육자들의 생각 또한 건강해야 한다. 진보와 보수로 갈라진 지금의 사회에서 각각 추구하는 교육이념이 달라, 각자의 입장에서 각자의 목소리를 내는 것보다는 서로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그 입장을 헤아려볼 수 있는 마음가짐이 절실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