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엄하게 가르치지 않는가 - 지나친 관용으로 균형 잃은 교육을 지금 다시 설계하라
베른하르트 부엡 지음, 유영미 옮김 / 뜨인돌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가 갖고 있는 능력을 발견하고 그것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정성을 쏟아야 한다. 아이가 지니고 있는 재능을 교사, 부모 그리고 아이와 함께 찾아 나서야 한다. 어떻게 찾아낼 수 있을까. 그리고 어떻게 만들어줄 것인가. 끊임없는 관찰을 통한 개선은 보이지 않던 것을 보이게 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아이는 변화할 것이다. 어떤 변화를 만들어낼까. 

 

교육의 방식에 대한 여러 이야기들이 있다. 교육학자들에 의한 방식도 있고 인간 본성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서부터 시작하는 이론들도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현장에사 아이들과 함께 생활하는 교육자, 부모들이다. 어떤 태도로 아이들을 만나고 가르칠 것인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여라

 

베른하트르 부엡은 엄하게 가르쳐야 한다고 강조한다. 훈련을 통해 아이가 질서를 배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창조적인 능력, 상상력은 언제 출현가능한가? 놀이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베른하르트 부엡은 공동체 생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아이들이 함께 생활하면서 그 안에서 배우는 것들은 소중하다. 지금의 시대는 핵가족 형태로 자신의 아이들만 생각하는 경향이 짙다. 아이들 스스로도 자신 위주의 생활 방식을 편하게 받아들인다. 그러다보니 성장을 해서 함께 나누는 생활을 하지 못한데서 오는 문제들과 우리는 직면한다. 

 

이런 좋지 않은 결과를 만들어내기 전에 해결할 수 있는 길이 엄한 교육이다.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교육체계를 살펴보고 현장에서 적용해보자. 아이는 훈련에 의해 변화할 수 있다. 

 

가정과 교실은 아이의 성장이 이루어지는 놀라운 무대이다. 아이에게 자신감을 줄 수 있는 것은 가르치는 사람의 용기이다. 

 

“아이들은 일찍부터 감정과 소망과 인간관계와 시간과 행복과 걱정에 ‘질서를 부여하는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 즉, 삶을 정돈하는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 부모와 형제자매들을 보면서 배울 수도 있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부모는 외부적인 환경에 질서를 세워 주어, 아이들이 연습을 통해 이를 배우고 언젠가 자신의 삶에서 스스로 자연스럽게 질서를 세울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이 세상에서는 외적 질서가 내적 질서로 이른다는, 좀 더 적확하게 말하면 내적 질서는 외적 질서 없이는 세워지지 않는다는 평범한 진리가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본문 94페이지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