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을 자르는 눈꺼풀처럼 창비시선 357
함민복 지음 / 창비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인의 시는 애처로운 기분이다. 삶과 사람 사이에 놓인 그 무엇. 그것이 가난이든, 삶을 향한 연민이든 상관없다. 시를 읽고 나면 뭔가 마음이 정화된 듯한 느낌을 받으면 나는 그것으로 만족한다. 시인에게서 떠난 시는 시인의 것만이 아니다. 모두의 것이며 읽는 이의 몫이라 나는 생각한다. 그러면에서 함민복 시인의 시는 나에게 그런 의미로 다가 온다


시골에서 서울 올라 온 사람이 느끼는 듯한 풍경이 들어 있다. 문명과는 떨어져 살다가 낯선 세계에 떨어져 부딪히는 그 이상한 것들을 느끼게 한다. 낯설지 않게 받아들이고 사는 우리들에게 낯선 것이 무엇이며, 정작 무엇을 멀리하고 사는가를 깨닫게 한다. 우리가 가까이해야 할 것과 멀리해야 할 것들을 구별하지 못하고 산다. 나의 고향, 나의 부모, 나의 형제를 떠나 살면서 세상 멀리 떨어져 있는 소식들에 열광하며 살아가는 우리들을 깨닫게 한다. 부모의 지난 생애보다 더 자세히 알고 있는 오늘 우리 사회들의 모습이나 연예인들의 그 자질구레한 이야기들을 더 잘 알고 있지 않는가.

 

이번 함 시인의 시는 다소 무거운 느낌이 드는 시집이다.

 

그 중 하나는 불탄 집

 

불탄 집에 어둠이 산다

불탄 집엔 더 이상 불이 살지 않는다.

 

불탄 집에 소리가 살지 않는다

불탄 집에 고요가 산다.

 

그리고 작은 씨앗 하나에서도 세상을 발견하는 우주를 발견하는 시인의 눈을 따라간다.

 

씨앗을 먹고 살면서도

씨앗을 보지 못했었구나

씨앗 너는 마침표가 아니라

모든 문의 문이었구나

 

씨앗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