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방을 찾아서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영복 선생님 전국 곳곳에 남긴 글자들을 찾아 떠났다. 기자들과 함께 자신이 남긴 글들을 찾아 떠나 사람들을 만나고 그 지방의 역사를 다시 짚어보며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눴다.

 

의미있는 작업이다.

 

미처 어떤 형태로 남겨졌는지 알아볼 길이 없었는데 이렇게 다시 찾아 그 형태를 보고, 그 역사 속 인물들을 통해서 오늘 우리 삶의 모습을 반추해보는 일이니 말이다. 서울이라는 글자를 찾아 떠나고, 박달재를 찾아가고, 꿈을담는도서관을 찾고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을 찾았다. 변방을 찾아서는 결코 공간적인 변방만이 아니다. 우리 삶의 변방이다. 만남과 이별이 있고 삶과 죽음이 있는 곳이다.

 

“변방을 찾아가는 길이라는 결코 궁벽한 곳을 찾아가는 것이 아님을, 각성과 결별 그리고 새로운 시작이 있는 곳이라면 그곳이 바로 변방임을 새삼 깨닫게 된다.“

 

변방을 찾아서는 자기 자리를 찾아가는 길이다. 잃어버렸던 것을 다시 제자리에 돌려놓는 일을 한 것임을 생각한다. 있어야 할 자리에 마땅히 있어야 할 것들을 우리는 놓치고 살았다. 신영복 선생은 바로 그 일을 한 것이다. 아직도 해야 할 것들이 많이 있지만 말이다.

 

“그렇다. 우리가 반성해야 하는 것은 깨달음마저도 소유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것이 아닐까. 끊임없는 불화와 긴장 그 자체가 지혜인지도 모른다. 용과 고래의 한판 쟁투가 우리 시대가 치열하게 고민해야 하는 지혜의 현실적 모습인지도 모른다.”

 

사람이 마땅히 해야 할 일을 놓치고 사는 지금, 짧은 글 속에서 몇가지 생각들을 들어 올려볼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